라벨이 민수기1장개요인 게시물 표시

민수기 1장 26절-35절, 다섯 지파의 모습 - 민수기 강해 설교

이미지
민수기 1장 26절부터 35절의 본문은, 하나님의 명령을 따라 모세와 이스라엘 지휘관들이 각 지파의 명수를 계수하고 정리하는 내용들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본문은 그 중에서 유다 지파와 잇사갈 지파, 그리고 요셉의 두 아들 지파의 내용이며, 본문의 강해 설교를 나눕니다. 민수기 1장 26절-35절, 다섯 지파의 모습 오늘 본문은, 야곱의 아내인 레아가 낳은 세 아들의 후손들과 라헬의 아들이었던 요셉과 관련된 두 지파의 명수를 계수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들 다섯 지파의 인구 조사가 주는 의미가 무엇일까요?  유다 지파  유다 지파의 싸움에 나갈만한 20세 이상의 남성 수는 74, 600명인데(26, 27절) 유다(Judah)는 '찬송함'이란 뜻으로서 야곱의 네째 아들로 레아의 소생입니다(창 29:35). 유다는 요셉을 죽이지 말고 장사꾼에게 팔자고 제안하여 동생을 구했습니다(창 37:26, 27). 또, 유다는 양식을 구하기 위하여 애굽에 갔을 때 요셉이 거짓으로 베냐민을 잡으려 할 때 애걸하며 구원을 요청하였던 인물입니다(창 44:18-34). 그는 동생들을 위한 사랑의 마음이 큰 사람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는 출애굽시 인원이 제일 많았고 광야와 가나안에 들어갈 때도 언제나 앞장을 섰습니다. 그의 기호는 사자였고(창 49:9, 계5:5) 그의 기업은 가나안 남방으로 다른 지파보다 가장 광대했습니다. 예루살렘과 시온산, 성전 및 왕궁들이 이 지방에 있었고 나라 이름도 유다였고 왕좌 역시 이 지파에서 나서 다윗으로부터 시드기야까지 계승되었습니다. 잇사갈과 스불론 지파  잇사갈(Issachar) 지파의 수는 54, 400명이었습니다(28, 29절). 그는 레아의 소생으로 '값을 주심'이란 뜻입니다(창 30:18). 그에 대한 야곱의 예언이나(창 49:14) 모세의 축복대로(신 33:19) 아주 건강하고 충성심이 강한 지파였습니다. 스불론(Zebulon)은 '후한 선물'이란 뜻으로 레아의 소생, 야곱의 열째 아들이었습니...

민수기 1장 20절-25절, 세 지파의 인원 - 민수기 강해 설교

이미지
민수기 1장 20절부터 25절까지의 말씀은, 하나님의 명령을 따라 이스라엘 12 지파의 20세 이상 남성의 명수를 계수한 결과들 중에, 르우벤과 시므온 그리고 갓 지파의 인원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본문을 묵상하고 그 의미에 대한 강해 설교의 구조와 핵심을 정리하였습니다. 민수기 1장 20절-25절, 세 지파의 인원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모세와 이스라엘의 열 두 지파 지휘관들은 각 지파의 인원을 계수하였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가 기록되는데, 본문은 열 두 지파들 가운데 르우벤과 시므온, 그리고 갓 지파의 인원과 그 성격에 대하여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들 지파의 인원에 관한 말씀의 의미가 무엇일까요? 르우벤 지파의 자손  르우벤 지파의 가족과 종족을 따라 20세 이상으로 싸움에 나갈만한 남자를 계수하니 46, 500명이었습니다(20, 21절). 르우벤(Reuben)은 야곱의 장자로서 레아의 소생이었습니다(창 29:32). 그 이름의 뜻은 '보라, 아들이라' 또는 '묵시의 아들'입니다. 그러나 그는 서모 빌하를 간통하는 죄로 장자권을 상실하고 말았습니다(대상 5:1). 그는 형제들이 요셉을 죽이려고 할 때 그를 구해줌으로써 역시 맏아들 구실을 했던 적도 있었습니다. 사람은 각각 제 구실을 할 줄 알아야 합니다. 시므온 지파의 자손  시므온 지파의 명수를 계수하니 59, 300명이었습니다(22, 23절). 시므온(Shimeon)은 레위의 형제로서 '들으심, 얻음'이란 뜻을 가지고 있는데 레아가 낳은 야곱의 둘째 아들입니다(창 29:33). 그는 성품이 잔인하고 요셉을 아주 미워했던 것 같습니다(창 37:20). 그의 잔인성은 누이인 디나의 치욕을 씻기 위해 세겜 사람을 잔인하게 학살하는 모습에서 잘 드러나고 있습니다(창 34:25-30, 49:5-7). 그의 이렇게 잔인하고 완악한 결과로 그의 후손이 가나안 땅에 들어갈 때의 계수가 겨우 22, 200명으로 줄고 말았습니다(민 26:12-14). 언제나 온유한 자가 땅을 차지...

민수기 1장 1절-19절, 명수대로 계수하라 - 민수기 강해 설교

이미지
민수기 1장 1절부터 19절까지의 말씀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의 용사들의 명수를 계수하라는 명령을 주신 말씀입니다. 광야를 행진하기 직전에 이스라엘을 하나님의 군대로 세우신 하나님의 명령에 대한 민수기 1장의 강해 설교를 정리하여 나눕니다.  민수기 1장 1절-19절, 명수대로 계수하라 히브리 민족사는 모세 오경에 계속 연결되어 있습니다. 창세기에서는 선택, 출애굽기는 탈출, 곧 구속, 레위기에는 제사와 예배, 민수기에는 군대와 전투로 이어집니다. 이 계수는 시내산 기슭에 1년간 머물면서 조직을 정비하고 전진하기 위한 준비인 것입니다. 종족의 지휘관들 여호와께서는 모세를 통하여 각 지파에 한 사람씩 지휘관을 임명하셨습니다. 모세와 아론이 전체를 지휘하고(3절) 전체의 수를 조사할 때 그 지휘관들은 협력자가 된 것입니다(16절). 언제나 지도자란 봉사하는 자가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될 것입니다. 하나님의 군대  히브리 민족은 여호와 하나님을 그들의 왕으로 모시고 살았습니다(삼상12:12). 따라서 그들은 하나의 국가 체제를 갖추기 시작했습니다. 거기에는 정종일체(政宗一體)가 확립된 것입니다. 그래서 우선 하나님의 시키심을 따라 인구 조사에 들어갔습니다. 때는 출애굽 2년(건국 2년)이었습니다. 다윗은 자기 명예심에서 인구조사 후 큰 화를 당했습니다(삼하24:10-17, 대상21:1-27). 현대 교회의 통계 숫자는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것이어야 합니다. 그 계수법은 아주 세밀하였습니다. 그 대상은 세대별 가족에 따라 종친과 가계대로 20세 이상 군대에 나가 싸울 남자들이었습니다. 우리는 그리스도의 선한 군대로서(딤후2:3, 4) 아브라함의 후손이며(갈3:26, 29) 하나님의 자녀들입니다(요일3:2, 롬8:14, 16).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라  백성을 계수한 또 하나의 이유는 어려운 광야 길 40년 동안 여호와께서만 저들의 목자이심을 재확인하는 것입니다. 그가 먹이시며 고된 영성 훈련을 통하여 가나안 땅에 인도하시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