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민수기3장핵심인 게시물 표시

민수기 3장 44절-51절, 구별된 사람 - 민수기 강해 설교

이미지
민수기 3장 44절부터 51절까지의 말씀에서,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의 장자를 대신한 레위인의 수가 더 작은 것을 보시고 차이나는 수만큼 5세겔씩 속전으로 바치라고 명령하셨습니다. 이러한 본문의 의미가 무엇일까요? 민수기 강해 설교로 그 의미를 정리하였습니다. 민수기 3장 44절-51절, 구별된 사람 베들레헴에서 나신 예수님은 난지 8일 만에 예루살렘 성전에 아기로 드려졌습니다. '주의 율법에 쓴 바 첫 태에 처음 난 자마다 주의 거룩한 자라 하리라'라고 기록하신 그대로 였습니다(눅 2:22-23). 첫 아들과 짐승의 첫 새끼를 드리는 율례는 출애굽 직전 유월절의 은혜에 의해 이스라엘의 장자들이 살아난 사실에 기원을 두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 말씀에서 은혜에 의해 구원받은 자는 하나님께 드려져야 한다는 엄숙한 메시지를 듣습니다. 바울은 '사나 죽으나 우리가 주의 것이로다'(롬 14:8)라고 고백하였습니다. 본문은 이스라엘 여러 지파의 첫 아들 대신 레위인과 그 가축을 드리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또한 그리고 레위인보다 더 많은 장자의 수효에 대해서는 한 사람에게 5세겔씩 계산해 그 속전을 아론과 그 아들에게 주라고 명하고 있습니다. 본문이 우리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일까요?   하나님께 드릴 때는 온전히 드리라  먼저, 본문의 말씀은 하나님께 드릴 때는 온전히 하나님께 드릴 것을 교훈하고 있습니다. 첫 아들에게 부모가 아무리 하나님의 섭리와 성별을 말해준다 해도, 그들은 세상에 속해 일하는 자들이기 때문에 늘 마음이 나누이고 세속에 섞이기 쉽습니다. 세상 속에 살아가는 한, 결코 세상과 완전히 구별된 삶을 살아갈 수는 없습니다. 반면에 레위인들은 첫 아들이 아니라 해도 구별해서 하나님의 일만을 전담한 자들이기 때문에 온전히 드려짐을 알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명분으로 섬김보다 실제로 온전히 드려진 사람을 기뻐하십니다. 또한 그들을 통하여 역사하십니다. 몸을 드릴 수 없으면 제물로 헌신하라  레위인보다 수가 더 많은 장자로 인하여, 초과...

민수기 3장 38절-43절, 하나님의 거룩한 숫자 - 민수기 강해 설교

이미지
민수기 3장 38절부터 43절까지의 말씀에는, 레위인의 각 종족대로 계수한 숫자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주의 일을 충성으로 감당할 자들을 부르셨고 레위인들은 그 부름에 응답하고 헌신하였습니다. 민수기 강해 설교를 정리하고 요약하였습니다. 민수기 3장 38절-43절, 하나님의 숫자 하나님의 명령대로 레위인들 중에 일개월 이상인 남자를 계수하니 22, 000명이었습니다(39절). 이스라엘의 처음 난 자들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들은 하나님께 속하였으며 장차 올 신약 시대의 교회를 비유하신 것입니다. 신약 시대의 교회를 가리켜 장자들의 총회(히 12:23)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들이 구속을 받은 것은 그들을 대신한 자 곧 레위 족속으로 말미암았습니다. 하나님께서 레위인의 숫자를 계수하신 것처럼 오늘도 교회에 거룩한 숫자를 세고 계심을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하나님의 숫자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입니까? 믿음의 숫자  예수님께서는 '말세에 믿는 자를 보겠느냐'고 말씀 하셨습니다. 또, '두 세사람이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는 나도 있느니라'고 말씀 하셨습니다. 하나님은 믿는 자와 예배하는 자를 기뻐하시고 계산하고 계십니다. 믿음 없는 자가 되어 쫓겨나거나 실망을 드리지 않도록 흔들리지 않는 믿음을 가지고 살아갑시다. 믿음이 무엇보다 귀하며 믿음이 이깁니다. 믿음이 없이는 하나님을 기쁘시게 할 수 없습니다. 선을 행하는 자의 숫자  오늘 우리가 살아가는 시대는 여리고로 내려가던 길에서 강도 만난 자를 도와준 선한 사마리아 사람이 필요한 시대입니다. 과연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 속에서 자비를 베풀고 선을 행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의인 10명이 없어서 멸망받았던 소돔과 고모라 성이 되지 말아야 합니다. 선을 행할 때 방해 세력이 많지만 낙심하지 아니하면 반드시 열매를 맺을 수 있습니다. 선을 베풀고 그리스도의 명령을 따라 원수까지 축복하는 우리가 되길 바랍니다. 복음을 전하는 숫자  오늘 우리의 시대에는 추수할 것이 너무 많습니다. 그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