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민수기5장묵상인 게시물 표시

민수기 5장 23절-31절, 저주의 쓴 물 - 민수기 강해 설교

이미지
민수기 5장 23절부터 31절의 말씀은, 음행에 대한 의심을 받는 여인이 저주의 쓴 물을 마시고 그 결과가 어떠한가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의심을 받는 여인이 저주의 쓴 물을 마시면, 공의의 하나님께서 그 여인의 정결 여부를 밝혀 주심을 강해 설교로 정리하였습니다. 민수기 5장 23절-31절, 저주의 쓴 물 정결치 못한 사람, 자기 자리를 지키지 못하는 사람으로 의심을 받는다는 것은 어떤 경우라 하더라도 불미스러운 일임에 틀림 없습니다. 특히 그리스도인들의 공동체 안에서 이런 일들이 생기게 되면 반드시 진위를 가려내어 정결케 하도록 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죄악은 누룩과 같이 공동체 전체를 오염시키기 때문입니다. 본문은 의심의 법에 관하여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의심받는 아내의 정결 여부를 가리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그리스도인들의 영적 정결에도 경종을 울려줍니다. 의심받는 여인이 저주의 쓴 물을 마시다 이 저주의 쓴 물은 상징적인 것으로 하나님께서 범죄한 여인에게 해독이 임하게 하심을 가리킵니다. 죄에는 형벌이 따르기 마련입니다. 주의 백성에게 있어서 불의나 부정은 도저히 용납될 수 없는 일이었습니다. 죄를 멀리해야 합니다. 모든 불의에서 떠나야 합니다. 이런 것들은 모두가 우리로 하여금 부패하게 하고, 저주가 임하게 한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하나님께서 정결 여부를 밝혀 주심  의심의 법을 집행하는 사람은 제사장이었지만 정결 여부는 하나님께서 밝혀 주셨습니다. 하나님은 제도 위에 계신 분이십니다. 따라서 우리가 그분께 의뢰하지 않고 제도에 얽매여 무슨 일을 판단하게 되면 잘못된 결과를 빚어내게 되기가 쉽습니다. 하나님의 도우심을 의뢰할 때 비로소 차질을 빚지 않게 됩니다.  뇌물을 받지 않으시고, 모든 것을 알고 계신 하나님께 우리의 문제를 가지고 나가야 합니다. 공의의 판결을 내리시는 공의의 하나님께 모든 문제를 해결함 받아야 합니다. 정결한 자는 해를 면하고 잉태하는 축복을 받음  본문의 말씀을 보면, 저주의...

민수기 5장 16절-31절, 음행한 여인에 대한 판결 - 민수기 강해 설교

이미지
민수기 5장 16절부터 31절의 말씀은, 음행한 여인과 음행을 의심 받는 여인이 하나님 앞에서 쓴 물을 마셨을 때의 판결에 대한 내용입니다. 의심을 받는 아내는 오히려 잉태하게 되겠지만, 음행한 여인은 저줏거리가 되고 말것이라는 본문의 강해 설교를 요약하였습니다. 민수기 5장 16절-31절, 음행한 여인에 대한 판결 본문에서 제사장 앞에 끌려온 의심받은 여인의 결과는 둘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하나는 음행하지 아니한 의심받은 아내요, 다른 하나는 남편을 떠나서 다른 남자와 음행한 아내입니다. 후자일 경우는 죄의 값을 분명하게 받게 됨을 알 수 있습니다. 구약의 율법은 신약의 수가성에서 물 길러 온 창녀를 정죄하지 아니하시는 주님의 법과는 너무 거리가 먼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음행한 여인에 대한 판결은 어떻게 하는 것일까요? 의심받은 아내(28절)  음행하지 아니하였는데 남편이 의심하므로 제사장 앞에 나온 여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녀는 죄를 짓지 아니하였어도 남편에게 의심을 받은 여인은 남편도 큰 잘못이지만 아내의 행실이 의심을 받을만 하였기 때문에 공동 책임을 져야 합니다. 아내는 의심받았다는 이유로 그 쓴 물을 마셔야만 했습니다. 만일 그 여인이 범죄하지 아니하였다면 그녀에게 아무런 현상이 나타나지 않을 것입니다. 이러므로 그 여인은 불명예스런 의심에서 벗어나게 되며 잉태할 수 있는 자가 되어진다고 본문은 설명하고 있습니다.  음행한 아내(27절)  반면에 음행한 여인이 쓴 물을 마시게 되면, 음행한 여인에게는 그 쓴 물이 독약이 됩니다. 배가 부어 오르고 넓적다리의 살이 떨어져 여인의 아름다움은 완전히 상실당하고 말게 될 것입니다. 배가 부어 올라서 언제나 만삭된 여자와 같게 되며 넓적다리의 살이 파괴되어 떨어지므로 백성 중에 저주거리가 되어지는 여인이 되고 맙니다. 참으로 가혹한 형벌이 아닐 수 없습니다. 남편을 떠나서 음행하는 여인은 끝장난 인생을 살게 됨을 분명하게 말씀합니다. 구약은 남존여비의 사상이 짙게 드리워져 있는 ...

민수기 5장 11절-15절, 가정을 지키기 위한 방법 - 민수기 강해 설교

이미지
민수기 5장 11절부터 15절까지의 말씀은, 거룩하신 하나님께서 함께 하시는 우리의 가정이 거룩함을 지켜야 한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아내의 부정이나 남편의 의심과 관련된 죄로부터 가정을 지키기 위한 방법이 기록된 본문의 강해 설교를 정리하였습니다. 민수기 5장 11절-15절, 가정을 지키기 위한 방법 하나님께서는 아담을 창조하시고 그가 혼자 있는 것을 안타깝게 여기셨습니다. 그래서 아담을 잠들게 하시고 그의 갈빗대를 취하셔서 하와를 창조하셨습니다. 그리고 아담에게 돕는 베필로 주셨습니다. 에덴 동산에서부터 부부는 가정의 기초이며 삶의 터전의 근거가 됩니다. 그러므로 부부관계는 신성하고 사랑안에 거짓없는 신뢰의 관계이어야 합니다. 그런데 본문은 남편 몰래 외도한 순결하지 못한 아내에 대한 규례를 기록되어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가정을 지키기 위한 방법을 제시해 주신 것입니다. 아내의 외도는 범죄이다(12-13절)  아내가 남편에게 범죄하는 것 중에 가장 큰 것은 가정의 순결함과 신성함을 깨뜨리는 외도입니다. 여자는 순결한 정조를 지녀야 합니다. 물론, 남편이 아내에게 대함도 마찬가지입니다. 남편이 아내를 떠나서 다른 여자와 성적인 관계를 맺는다면, 아내에게 범죄한 것이 됩니다. 가정은 남자와 여자를 합하여 이루어지므로 둘 다 순결한 정조를 가지고 살아야 합니다. 남자는 외도하여도 되고 여자는 안된다는 논리는 성립되지 않습니다. 의심도 죄이다(14절)  의처증 또는 의부증이란 말이 있습니다. 이는 불명예스런 단어입니다. 그러나 인간이 살아가는 생활 속에는 의심이 생기게 마련입니다. 부부가 서로 의심한다면 신뢰는 이미 깨어진 관계일 수 밖에 없습니다. 불륜의 관계가 없는데도 의심한다면 그것도 역시 죄가 됩니다. 신뢰가 없는 부부지간은 불행한 삶이기 때문입니다. 불신의 죄가 크다는 것은 이미 아는 바이지만 사람과 사람 사이에 남편과 아내 사이에 불신이 있는 것쯤은 죄로 생각지 않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러나 신뢰하여야 할 관계에서 신뢰치 못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