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바알과아세라인 게시물 표시

사사기의 이스라엘이 반복적으로 우상 숭배하게 된 이유 3가지 - 성경사전

이미지
  가나안 종교에서 섬기는 바알의 여러 모습과 가나안 종교의 특징을 지금껏 알아 보았습니다. 가나안 종교만의 특징 때문에 이스라엘은 가나안 우상 숭배에 빠져들 수 밖에 없었고 그들은 반복되는 죄를 지음으로써 하나님의 심판의 대상이 되고 말았습니다. 이스라엘이 가나안 우상 숭배에 빠져든 원인 이스라엘이 가나안의 우상들을 섬기고 그것들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이유는 쾌락과 세속적인 부유함을 추구하는 그들의 연약함에 있었습니다. 그들이 우상 숭배를 하게 된 이유 3가지와 우리에게 주는 교훈을 정리하였습니다. 우상 숭배의 원인 3가지 1. 가나안의 풍요의 원인에 대한 관심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나안 땅에 들어오게 되었다는 것은, 그들의 삶의 환경이 근본적으로 변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스라엘은 반(半)유목민이었던 위치에서 비옥한 초숭달 지대에 정착한 농민의 위치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광야에서의 오랜 유랑 생활을 끝내고 가나안 땅에 정착하여 살면서, 그들은 곡식과 가축의 다산 등 그 땅의 풍요로움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전에 없던 안정된 생활과 풍요로움을 맛보면서 이스라엘 백성들은 가나안 땅의 풍요를 가능하게 한 배경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으며, 바로 가나안의 종교를 그 원인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2. 가나안의 신화적 세계관의 영향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나안 땅에 정착하게 되었다는 것은 그들 삶의 방식 또한 근본적으로 변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농업에 종사하게 된 이스라엘 백성들은 당연히 곡식 재배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강우량이나 계절의 변화 등 자연과 관련된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기상의 과학적인 원리를 잘 알고 있는 오늘날의 농부조차도 풍부한 수확을 산출하는 토양의 생산력 등 자연의 신비에 감탄을 금치 못합니다. 더구나 현대에 비해 자연력에 전적으로 의지하여야 했던 고대의 생활 배경 가운데, 자연의 신비가 종교적 관점에서 해석되었다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닙니다. 이스라엘 백성들 역시 자연력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농업...

이스라엘이 섬겼던 가나안 종교의 특징 4가지(feat. 바알과 아세라) - 성경사전

이미지
  사사기에 나타난 이스라엘 백성들은 가나안 백성들과 어울려 살았습니다. 그래서 이스라엘 백성들은 가나안의 종교의 우상인 바알과 아세라를 섬기기 시작하였습니다. 이 종교에는 어떤 특징이 있길래 하나님께서 가나안 종교를 미워하시는 것일까요? 가나안 종교의 특징 가나안 백성들이 섬기는 우상은 바알과 아세라로 대표할 수 있습니다. 이 종교의 주신인 바알과 아세라는 여러 모습으로 나타나는데, 가나안 종교의 특징들에 대해 정리한 글을 인용하였습니다. 가나안 종교는 다신주의입니다 가나안에서는 지역에 따라 그리고 종족에 따라 각기 다른 많은 신들이 섬겨졌습니다. 이러한 사실은 성경의 기록 뿐만 아니라 1929년 시리아 북쪽 연안 라스 샴라에서 발견된 우가릿(Ugarit) 문헌을 통해서도 잘 드러나고 있습니다. 즉 가나안 종교는 상당히 초기부터 매우 발달된 체계를 갖추고 있었던 것입니다. 우가릿 문헌의 바알 신화는 수많은 신들의 이야기가 얽혀 있으며, 일단 가나안의 만신전 (Pantheon)에 언급된 것은 모두 신으로서 대접을 받게 되었습니다. 또한 가나안 원주민들은 자신들의 우상 뿐만 아니라 일찍부터 인접한 에돔과 모압, 그리고 암몬족의 우상들까지 받아들여 함께 숭배하였으므로 후대로 내려갈수록 신들의 숫자는 더욱 많아졌습니다. 가나안 종교는 형상을 숭배하는 종교입니다 형상 숭배는 가나안의 종교 역시 예외가 아닙니다. 가나안의 종교는 그들의 신을 형상화하여 나타내는 데 열중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가나안의 어머니신(Mother-Goddess)으로 알려져 있는 아세라는 나체의 여인상의 형태를 취하고 있었습니다. 가나안의 대표적인 신인 바알은 그의 아버지 신인 엘(El)처럼 힘을 상징하는 통물인 황소의 형태를 취하고 있습니다. 가나안에는 이러한 형상들을 모신 산당이 각지에 수없이 산재하였습니다. 가나안 종교는 자연 현상과의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가나안 종교에 등장하는 신들과 그 땅의 자연 현상과의 밀접한 관련성을 이해하는 데는 먼저 바알 신화의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 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