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사기의 이스라엘이 반복적으로 우상 숭배하게 된 이유 3가지 - 성경사전
가나안 종교에서 섬기는 바알의 여러 모습과 가나안 종교의 특징을 지금껏 알아 보았습니다. 가나안 종교만의 특징 때문에 이스라엘은 가나안 우상 숭배에 빠져들 수 밖에 없었고 그들은 반복되는 죄를 지음으로써 하나님의 심판의 대상이 되고 말았습니다. 이스라엘이 가나안 우상 숭배에 빠져든 원인 이스라엘이 가나안의 우상들을 섬기고 그것들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이유는 쾌락과 세속적인 부유함을 추구하는 그들의 연약함에 있었습니다. 그들이 우상 숭배를 하게 된 이유 3가지와 우리에게 주는 교훈을 정리하였습니다. 우상 숭배의 원인 3가지 1. 가나안의 풍요의 원인에 대한 관심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나안 땅에 들어오게 되었다는 것은, 그들의 삶의 환경이 근본적으로 변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스라엘은 반(半)유목민이었던 위치에서 비옥한 초숭달 지대에 정착한 농민의 위치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광야에서의 오랜 유랑 생활을 끝내고 가나안 땅에 정착하여 살면서, 그들은 곡식과 가축의 다산 등 그 땅의 풍요로움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전에 없던 안정된 생활과 풍요로움을 맛보면서 이스라엘 백성들은 가나안 땅의 풍요를 가능하게 한 배경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으며, 바로 가나안의 종교를 그 원인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2. 가나안의 신화적 세계관의 영향 이스라엘 백성들이 가나안 땅에 정착하게 되었다는 것은 그들 삶의 방식 또한 근본적으로 변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농업에 종사하게 된 이스라엘 백성들은 당연히 곡식 재배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강우량이나 계절의 변화 등 자연과 관련된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기상의 과학적인 원리를 잘 알고 있는 오늘날의 농부조차도 풍부한 수확을 산출하는 토양의 생산력 등 자연의 신비에 감탄을 금치 못합니다. 더구나 현대에 비해 자연력에 전적으로 의지하여야 했던 고대의 생활 배경 가운데, 자연의 신비가 종교적 관점에서 해석되었다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닙니다. 이스라엘 백성들 역시 자연력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농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