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백성이 전투에서의 승리를 위해 벧엘에서 금식하다 - 성경 속의 모든 금식
사사기의 가장 큰 신학적 설명은 "하나님을 왕으로 인정하지 않고 자기 소견에 옳은 대로 행한 이스라엘"의 비참한 결과에 대한 내용일 것입니다. 그러한 일의 결과는 동족상잔의 비극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금식에 대한 내용이 등장합니다. 이스라엘 백성이 전투에서의 승리를 위해 벧엘에서 금식하다 1. 사건의 시작(사사기 19장) 사사기에 나오는 동족 상잔의 비극이 이 금식의 배경이 됩니다. 사사기 19장에서, 레위인이 첩을 맞이하였고 그 첩은 행음하고 베들레헴으로 돌아갑니다. 그래서 레위인이 첩을 데리러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베냐민 지파의 땅인 기브아에서 비극이 벌어집니다. 기브아 사람들이 밤새도록 레위인의 첩을 능욕했고, 그 첩은 결국 죽게 됩니다. 레위인은 그녀의 시체를 가지고 집으로 돌아와, 그 시체를 찍어 열두 덩이로 나누어 이스라엘 각 지파로 보냅니다. 이 사건이 발단이 되어 베냐민 지파와 나머지 이스라엘 지파들이 전쟁을 벌이게 됩니다. 2. 전쟁의 결과(사사기 20장) 이스라엘 전역에서 모여 온 이스라엘의 군대는 보병이 사십만이었습니다. 그에 맞서는 베냐민 지파의 병력은 이만 육천 칠백명이었습니다. 숫자로 볼 때는 상대가 되지 않지만, 이스라엘은 이만 이천명이 전사하고 베냐민에게 패합니다. 그리고 두번째 전투에서도 이스라엘 자손 만 팔천 명이 전사하고 패배하였습니다. 3. 문제의 원인 이같은 동족 상잔의 비극의 일어나고 이스라엘이 베냐민에게 패배하게 된 원인이 어디에 있을까요? 사사기 19장은 '이스라엘에 왕이 없을 그 때에'라는 말씀으로 시작함으로써, 이스라엘이 진정한 왕이신 하나님을 부정하는 삶을 살았음을 암시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을 섬기는 레위인이 첩을 두는 사건이나 그 첩이 행음하는 여인었다는 사실들을 볼 때, 하나님을 섬기는 이들도 이미 사명을 잃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게다가 그가 첩의 시신을 훼손하는 장면은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입니다. 베냐민 지파의 기브아 사람들은 나그네를 돌보라는 율법을 기억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