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삼일운동인 게시물 표시

한국 교회의 친일의 역사, 뼈아픈 한국교회 역사

이미지
한국 교회는 일제강점기 친일 행위에 대한 회개 부재로 시작해, 신사참배 강요와 전쟁 협력으로 변질되었습니다. 해방 후에도 진정한 회개 없이 오늘에 이르렀습니다. 현재 한국 교회의 과제는 과거사에 대한 집단적 반성과 회개를 통해 도덕적 권위를 회복하는 것입니다. 한국 교회의 친일의 역사, 뼈아픈 한국교회 역사 1. 한국 교회의 회개 부재 한국 교회는 신도들에게 항상 회개를 강조하지만, 자신들의 과오에 대해서는 공개적으로 회개한 적이 없습니다. 일제강점기 친일 행위, 한국전쟁 전후 반인륜적 행위, 군사독재 시절 부당한 권력에 협조한 일 등에 대해 공식적인 회개가 없었습니다. 이러한 회개 없는 한국 교회의 역사가 한국 교회 자체의 문제뿐만 아니라 한국 역사 전체가 일그러지는 데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첫 번째로 잘못 끼워진 단추가 바로 일제강점기 친일 행위에 대해 회개하지 않은 것이며, 이는 가장 큰 문제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초기 한국 기독교의 특징과 선교 방식 초기 한국 기독교는 미국인 선교사들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그들은 미국적 가치와 기독교적 가치를 동일시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선교 방식으로는 교육과 의료를 통한 접근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선교사들은 학교와 병원을 세워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을 돌보면서 기독교를 전파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많은 한국인들에게 기독교를 받아들이는 계기가 되었지만, 동시에 기독교와 물질적 혜택을 연결시키는 인식을 심어주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또한, 선교사들의 풍족한 생활은 한국인들에게 기독교와 부의 연관성을 강화시켰습니다. 3. 한국 기독교의 초기 반일 성향 1910년대부터 1920년대까지 한국 기독교는 강한 반일 성향을 보였습니다.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16명이 기독교 대표였으며, 많은 기독교인들이 독립운동에 참여했습니다. 이는 미국적 가치와 기독교적 가치를 동일시하는 경향과, 일본의 문화적, 종교적 압박에 대한 저항의식이 결합된 결과였습니다. 기독교인들은 자신들이 직접 미국 문화를 받아들일 수 있다는...

사무엘상 17장 45절-49절 하나님의 이름으로, 아동부주일예배설교

이미지
   골리앗에 비해 너무나도 왜소했던 다윗이었지만, 그는 담대하게 골리앗 앞에 섰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이름으로 너에게 가노라"라고 외쳤습니다. 다윗은 자신의 경험과 계획으로 골리앗에게 나아간 것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의 이름과 그분의 능력만을 의지하였습니다. 사무엘상 17장 45절-49절 하나님과 함께라면 문제없어요, 아동부주일예배설교 교사지침 사무엘상 17장 45절-49절 믿음, 보이지 않는 것을 보는 거에요, 아동부주일예배설교 성경 : 사무엘상 17장 45절-49절 설교 : 하나님의 이름으로 서론    여러분, '대한이 살았다' 라는 노래를 들어 본 적이 있나요? 3·1운동 직후, 감옥에서 만세운동을 펼친 7인의 여성 김향화, 권애라, 신관빈, 심명철, 임명애, 어윤희, 유관순 열사가 서로를 위로하고 독립에 대한 열망을 드높이고자 지어 부른 노래예요. 가사만 전해지다가, 최근 한 가수가 불러 유명해졌어요.     그 노래에는 이런 가사가 나와요.  “전중이 일곱이 진흙색 일복 입고 두 무릎 꿇고 앉아 하나님께 기도할 때 접시 두 개 콩밥덩이 창문 열고 던져 줄 때 피눈물로 기도했네 피눈물로 기도했네”     나라를 잃은 슬픔에 독립운동을 했지만, 그들을 버티게 해 준 분은 바로 하나님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 부분이지요. 오늘 말씀에도 이길 수 없을 것 같은 적에 맞서 나라를 구한 영웅이 나와요. 바로 이스라엘 백성이 가장 존경했던 왕, 다윗이에요. 이 사건은 다윗이 어떻게 민족의 영웅이 되었는지를 보여 주는 유명한 이야기예요. 본론    사람들은 말도 안 되는 승부를 '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 ' 이라고 말해요. 그만큼 다윗은 이길 확률이 없는 싸움에 나선 것이었어요. 그렇다면 다윗은 왜 그런 말도 안 되는 싸움에 목숨을 걸고 나선 걸까요? 블레셋과 골리앗이 하나님의 이름을 모욕했기 때문이에요. 다윗은 온 세상의 주인이신 하나님, 우리를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