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cker

6/recent/ticker-posts

한국 교회의 친일의 역사, 뼈아픈 한국교회 역사

한국 교회는 일제강점기 친일 행위에 대한 회개 부재로 시작해, 신사참배 강요와 전쟁 협력으로 변질되었습니다. 해방 후에도 진정한 회개 없이 오늘에 이르렀습니다. 현재 한국 교회의 과제는 과거사에 대한 집단적 반성과 회개를 통해 도덕적 권위를 회복하는 것입니다.


한국 교회의 친일의 역사, 뼈아픈 한국교회 역사



한국 교회의 친일의 역사, 뼈아픈 한국교회 역사



1. 한국 교회의 회개 부재


한국 교회는 신도들에게 항상 회개를 강조하지만, 자신들의 과오에 대해서는 공개적으로 회개한 적이 없습니다. 일제강점기 친일 행위, 한국전쟁 전후 반인륜적 행위, 군사독재 시절 부당한 권력에 협조한 일 등에 대해 공식적인 회개가 없었습니다. 이러한 회개 없는 한국 교회의 역사가 한국 교회 자체의 문제뿐만 아니라 한국 역사 전체가 일그러지는 데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첫 번째로 잘못 끼워진 단추가 바로 일제강점기 친일 행위에 대해 회개하지 않은 것이며, 이는 가장 큰 문제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초기 한국 기독교의 특징과 선교 방식


초기 한국 기독교는 미국인 선교사들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그들은 미국적 가치와 기독교적 가치를 동일시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선교 방식으로는 교육과 의료를 통한 접근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선교사들은 학교와 병원을 세워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을 돌보면서 기독교를 전파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많은 한국인들에게 기독교를 받아들이는 계기가 되었지만, 동시에 기독교와 물질적 혜택을 연결시키는 인식을 심어주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또한, 선교사들의 풍족한 생활은 한국인들에게 기독교와 부의 연관성을 강화시켰습니다.



3. 한국 기독교의 초기 반일 성향


1910년대부터 1920년대까지 한국 기독교는 강한 반일 성향을 보였습니다.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16명이 기독교 대표였으며, 많은 기독교인들이 독립운동에 참여했습니다. 이는 미국적 가치와 기독교적 가치를 동일시하는 경향과, 일본의 문화적, 종교적 압박에 대한 저항의식이 결합된 결과였습니다. 기독교인들은 자신들이 직접 미국 문화를 받아들일 수 있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고, 이는 일본의 이데올로기적, 종교적, 정치적 공작에 잘 흔들리지 않는 요인이 되었습니다.



4. 신사참배 강요와 한국 기독교의 위기


1938년부터 일본 정부는 한국 기독교에 신사참배를 강요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기독교의 본질과 관련된 심각한 문제였습니다. 많은 교회들이 신사참배를 수용했고, 일부 목사들은 신사참배를 거부하는 신도들을 밀고하기도 했습니다. 교회에서는 예배 전에 신사참배를 하고, 세례식에서는 일본의 신을 인정하는 선언을 해야 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 기독교는 신앙의 본질을 지키느냐, 아니면 교회의 존속을 위해 타협하느냐의 선택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5. 전쟁 협력과 교회의 변질


1940년대에 들어서면서 한국 교회는 일본의 전쟁 협력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게 됩니다. 교회종을 녹여 무기를 만들고, 비행기를 헌납하며, 국방헌금을 모금하는 등의 활동을 펼쳤습니다. 일부 교회는 폐쇄되고 그 재산이 헌금으로 바쳐지기도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신사참배와 전쟁 협력을 거부한 목사들은 박해를 받거나 은거하게 되었고, 적극적으로 협력한 사람들이 교계의 지도자로 부상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해방 이후 한국 교회의 지도층 구성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6. 해방 후 회개 운동의 실패


해방 이후, 신사참배를 거부했던 목사들을 중심으로 회개 운동이 일어났습니다. 그들은 일본 군국주의에 협조하고 신도들을 잘못된 길로 인도한 것에 대해 목회자들이 회개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이 운동은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신사참배에 동참했던 목사들은 회개를 거부하고, 오히려 자신들이 교회를 지키기 위해 더 힘들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러한 회개의 부재는 한국 교회가 과거사를 직면하고 반성할 기회를 놓치게 만들었고, 결과적으로 교회의 도덕적 권위를 약화시키는 요인이 되었습니다.



7. 현재 한국 교회의 과제


한국 교회는 여전히 과거사에 대한 집단적 반성과 회개가 필요합니다. 친일 행위 자체보다 더 심각한 문제는 회개가 없었다는 점입니다. 교회가 먼저 회개의 모범을 보임으로써 사회 전체에 본보기가 되어야 합니다. 이는 단순한 친일의 문제가 아니라 신앙의 본질과 관련된 배교의 문제로 다뤄져야 합니다. 지금이라도 한국 교회는 과거사 전체에 대한 집단적 자성과 회개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교회의 도덕적 권위를 회복하고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입니다.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