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행전 5장 1절-11절, 아나니아와 삽비라의 죄의 결과 - 묵상과 설교 새벽설교
초대교회가 성령의 은혜로 부흥해 갈 때 성도들은 서로 함께 나누었습니다. 타산지석이 되는 바나바는 자신의 밭을 팔아 교회에 바쳤습니다. 하지만 반면교사인 아나니아와 삽비라는 소유를 팔았지만 그 중에 일부를 감추어 성령과 교회를 속이려 하였습니다. 사도행전 5:1-11, 아나니아와 삽비라의 죄의 결과 타산지석과 반면교사 여러분! 타산지석과 반면교사라는 말의 뜻을 아십니까? 둘 다 다른 사람의 경우를 보고 교훈을 얻는다는 뜻을 가지고 있지만, 그 쓰임새는 정반대입니다. 타산지석은 중국의 ‘시경’이라는 책의 소아편에 나오는 말로, ‘다른 산의 돌이라도 귀한 옥돌을 갈 수 있다’는 뜻입니다. 즉, 군자가 되어 학문을 쌓는데 있어서 소인에게 배울 점이 있다는 뜻입니다. 긍정적으로 다른 사람을 통하여 교훈을 얻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반면교사라는 말은 “다른 사람의 경우를 통하여 내가 배운다”는 뜻으로 타산지석과 비슷합니다. 그러나 부정적인 경우를 말하는데, 쉽게 말하면 이렇습니다. 타산지석 은 ‘나는 저렇게 되어야지’이고, 반면교사 는 ‘나는 저렇게 되지 말아야지’입니다. 같은 뜻이지만 쓰임새는 정반대입니다. 그렇다면 오늘 본문은 “타산지석”일까요 아니면 “반면교사”일까요? 본문의 앞부분인 4장 마지막 부분에는 바나바가 한 일이 나옵니다. 초대교회에 성령이 충만함으로 인하여 모두가 서로 나누고 베풀기 시작합니다. 그 중에 바나바라는 사람이 자신의 밭을 팔아서 교회에 헌금을 하였습니다. 필요한 곳에 사용하라고 말입니다. 그리고 이어지는 내용이 오늘 본문인데, 아나니아와 삽비라 라는 부부가 바나바의 모습을 보고, 자신들도 소유를 팔아서 그 값을 교회에 헌금합니다. 이 모습은 타산지석일까요, 반면교사일까요?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기에 타산지석입니다. 교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아나니아와 삽비라도 바나바처럼 교회에 헌금을 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