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시편1편묵상인 게시물 표시

주의 말씀을 즐거워할 때, 시편 1편 1절-6절 - 묵상과 설교

이미지
오늘날 우리 시대의 가장 큰 위기는 나 자신이 누구인지 헷갈린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말씀은 기준(canon)이 되기에 말씀 속에서 "내가 누구인지"를 찾을 수 있습니다. 주의 말씀을 즐거워할 때, 나를 찾고 진정한 복 있는 사람이 될 수 있음을 묵상하고 설교로 정리하였습니다. 주의 말씀을 즐거워 할 때 시편 1편 1절-6절, 개역개정 성경 1 복 있는 사람은 악인들의 꾀를 따르지 아니하며 죄인들의 길에 서지 아니하며 오만한 자들의 자리에 앉지 아니하고 2 오직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여 그의 율법을 주야로 묵상하는도다 3 그는 시냇가에 심은 나무가 철을 따라 열매를 맺으며 그 잎사귀가 마르지 아니함 같으니 그가 하는 모든 일이 다 형통하리로다 4 악인들은 그렇지 아니함이여 오직 바람에 나는 겨와 같도다 5 그러므로 악인들은 심판을 견디지 못하며 죄인들이 의인들의 모임에 들지 못하리로다 6 무릇 의인들의 길은 여호와께서 인정하시나 악인들의 길은 망하리로다, 아멘! 멀티 페르소나의 시대 우리 시대가 맞이한 가장 큰 문제점은, 나 자신에 대한 확신과 정체성의 혼란의 문제라 정의할 수 있습니다. 현대인은 "멀티 페르소나"의 시대 속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페르소나"(persona)라는 말은 그리스 시대의 배우들이 얼굴에 쓰던 "가면"을 뜻하는 말입니다. 이 가면을 쓰면, 배우의 본래 모습은 사라지고 가면이 나타내는 인물이 됩니다. 장군의 가면이 쓰면, 배우가 장군이 됩니다. 임금의 가면을 쓰면, 배우가 즉시 임금으로 변화합니다. 이처럼 본래의 모습을 가리고 외적으로 드러나는 모습 혹은 성격을 '페르소나'라고 부른다고 심리학자인 융은 정의를 내렸습니다. 문제는 오늘날 우리는 '페르소나'가 너무나도 많다는데 있습니다. 그래서 현대 사회를 "멀티 페르소나"(Multi Persona)의 시대라고 부릅니다. 겉이 다르고 속이 다르다는 뜻입니다. 물론 ...

시편 1편, 누가 복 있는 사람인가 - 묵상과 주석, 그리고 새벽설교주제

이미지
대한민국 성도들이 한번쯤은 암송하며 은혜를 받는 시편의 말씀이 바로 1편일 것입니다. 시편 1편을 통하여 '복 있는 사람'이 누구인지 확인하고, 복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한 방법도 제시하는 주석과 해설 그리고 묵상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시편 1편의 묵상과 주석과 해설 시편 1편을 묵상하기 1편은 2편과 더불어 시편 전체를 소개하고 하나님의 율법이 제시하는 교훈을 찬양하고 있습니다. 본문의 진행 과정이 '좇다, 서다, 앉다 … 즐거워하다, 묵상하다 … 나무, 열매, 형통하다' 와 같은 간단한 행동과 친숙한 이미지로 묘사되어 많은 사람들이 이 본문을 암송하고 있습니다. 리처드 포스터(Richard Foster)는 "반복은 학습의 첫 단계다"라고 지적합니다(Celebration of Discipline에서 인용). 비록 암기하는 데 어려움이 있더라도 시편 1편을 암송하도록 시도해 봅시다. 쉽게 암기하는 방법은 성경 구절을 집 안과 직장 여러 곳에 써서 붙여 놓고 반복해서 보고 읽는 방법일 것입니다 . 시편 1편의 구조 1절-2절, 의인만이 가지는 특징들 3절-4절, 의인의 삶과 악인의 삶 5절-6절, 의인과 악인은 운명이 대조된다 시편 1편의 주석과 해설 1:1-2:12, 복 있는 사람은 시편 1편과 2편은 시편 전쳬의 서론으로 하나님의 선하심과 능력을 강조하고, 또 우리로 하여금 기쁘게 하나님의 길을 따르라고 초대하고 있습니다. 1절-6절, 복 있는 사람은 시편 1편은 독자들에게 두 길, 곧 의인의 길과 악인의 길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도록 도전을 받습니다. 이 선택에 대하여 두 가지 삶의 습관과 이로 인한 두 결과를 날카롭게 지적한다. 그리고 그 의도와 결론을 분명히 비교하여 명료하게 말해 주고 있습니다. 1절-2절, 복 있는 사람은 도입부부터 영성 개발의 중심 주제를 직접적으로 지적합니다. 당신의 관심은 어디에 있습니까? 당신은 무엇에 몰두하고 있습니까? 당신은 무엇으로 만족하고 있습니까? 당신의 인생은 어디로 향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