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십일조인 게시물 표시

오늘날에도 십일조를 해야 하는 것인가, 성경적 십일조에 대한 신학적인 고찰

이미지
최근 들어서 십일조에 관한 질문을 받고 논쟁하는 현장을 목격하였습니다. 그래서 성경적인 십일조의 신학적인 분석과 기원, 목적 등에 대한 내용들을 정리하였습니다. 또, 오늘날 기독교인들이 십일조를 어떤 자세로 해야 할 지에 대해 소논문의 형식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오늘 날에도 십일조를 해야 하는 것인가? 서론 오늘날 많은 기독교인들은 십일조에 대한 부담을 느끼거나 그 필요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곤 합니다. 이러한 고민의 배경에는 크게 두 가지의 이유가 존재합니다. 첫째, 신약 성경에서는 십일조에 대해 분명하게 명령하는 구절을 찾기 어렵다는 신학적인 인식이 확산되었기 때문입니다. 둘째, 일부 교회의 재정 운영 방식이 너무나도 불투명하다는 불신이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재정의 투명성에 대한 문제는 십일조에 대한 신학적인 논쟁에까지 영향을 미칠 정도입니다. 그래서 이와 같은 현대적인 고민을 염두에 두고, 성경에 나타난 "십일조"의 개념을 구약과 신약의 맥락에서 균형 있게 살펴보고, 다양한 신학적인 관점들을 바탕으로 오늘날 기독교인들이 십일조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져야 할지를 고찰해 보고자 합니다. 이를 통하여, 십일조를 보다 깊이 있고 성숙된 이해를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본론 1. 구약 성경에서의 십일조 : 그 근거와 목적 구약 성경에서 십일조는 하나님의 백성들이 반드시 지켜야만 하는 중요한 하나님의 명령이었습니다. 그 기원은 모세 율법이 주어지기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창세기에서 아브라함은 살렘 왕 멜기세덱에게 전리품의 십일조를 바쳤습니다. 또, 야곱은 벧엘에서 하나님께 십일조를 서원한 바가 있습니다. 이러한 족장 시대의 사례들은, 십일조가 고대 근동의 보편적인 관습이었다는 주장과 함께, 율법 이전에 이미 존재했던 신앙적인 원리였다는 주장의 근거가 됩니다. 그리고 율법이 모세를 통해 주어진 이후, 십일조는 보다 더 체계화되고 의무적인 성경을 띠게 되었습니다. 율법에 의하면, 땅의 소산이나 가축의 십분의 일은 여호와 하나님께 속한 거...

신명기 14장 22절-29절, 십일조의 삶, 하나님을 경외하는 삶 - 매일성경 큐티 새벽설교요약

이미지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매년 그리고 3년에 한 번씩 각각의 다른 십일조를 드리라고 명령하셨습니다. 십일조는 하나님을 경외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표현이었습니다. 1월 29일 월요일의 매일성경 큐티 본문인 신명기 14:22-29의 새벽설교 네 편을 요약하였습니다. 신명기 14장 22절-29절, 십일조의 삶, 하나님을 경외하는 삶 설교문 요약 1 : 십일조의 삶, 하나님을 경외하는 삶 본문의 개요 오늘 본문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지켜야 할 십일조의 규례에 대해 기록하고 있습니다. 십일조는 하나님께서 주신 소산의 1/10을 구별하여 바치는 것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소산은 곡식, 포도주, 기름, 가축, 가축의 첫 새끼 등을 포함합니다. 십일조의 종류 본문은 크게 두 가지의 십일조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첫째는 매년 드리는 십일조입니다. 이 십일조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께서 주신 소산에 대해 감사하고, 하나님을 경외하는 삶을 배우기 위해 드리는 것입니다. 둘째는 삼년에 한 번 드리는 십일조입니다. 이 십일조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예루살렘에 가서 성전을 방문하고, 하나님께서 주신 소산을 나누어 먹으며, 가난한 사람들을 돕기 위해 드리는 것입니다. 십일조의 삶 오늘 본문을 통해 우리가 십일조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몇 가지 요점들이 있습니다. 첫째, 십일조는 하나님께서 주신 소산에 대한 감사의 표현입니다. 우리는 하나님께서 주신 모든 것에 대해 감사해야 합니다. 우리의 삶, 우리의 건강, 우리의 재물, 우리의 가족, 우리의 친구 등 모든 것들은 하나님께서 주신 선물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선물들에 대해 감사하며, 하나님께 돌려드리는 것이 마땅합니다. 둘째, 십일조는 하나님을 경외하는 삶의 표현입니다. 십일조는 하나님께서 우리 삶의 주인임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하나님께서 우리 삶의 모든 것을 주관하시고, 우리 삶의 모든 것을 책임져 주신다는 것을 믿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의 재물을 하나님께 드림으로써, 하나님께서 우리 삶의 주인이심을 ...

[성경의 개요] 창세기 14장과 15장의 개요 - 아브라함의 용기와 하나님과의 언약

이미지
기근으로 인해 애굽까지  내려갔던 아브라함은, 하나님의 은혜로 사라와 함께 가나안 땅으로 돌아 왔습니다. 창세기 14장과 15장에서는, 아브라함이 적들과 싸워 승리한 내용과 하나님의 언약이 재확인되고 있습니다. 아브라함의 용기와 하나님의 언약에 대해 요약하였습니다. 창세기 14장-15장의 개요 아브라함의 용기(14:1-16) 1. 대적들(14:1-11) 가나안의 다섯 도시 국가의 왕들이 엘람의 그돌라오멜에 대해 반역을 일으킵니다(14:1-4). 그러자 그돌라오멜과 동맹국들이 배반한 다섯 도시 국가를 공격하여 약탈하고 포로를 잡아 갔습니다(14:5-11). 그 과정 중에, 아브라함의 조카인 롯도 노예로 끌려 갔습니다(14:12). 2. 아브라함의 승리(14:13-16) 아브라함은 롯이 붙잡혀 갔다는 소식을 듣고 자신의 집에서 훈련 시킨 318명의 종들과 롯을 구하러 갔습니다(14:13-14). 아브라함은 종들을 나누어 밤에 기습 공격을 하였고 그돌라오멜을 격파하고 롯을 구하였습니다(14:15-16). 아브라함의 십일조(14:17-24) 1. 살렘 왕 멜기세덱(14:17-20) 전쟁에서 승리하고 헤브론의 집으로 돌아가던 아브라함은 살렘 왕 멜기세덱을 만나게 됩니다. 그리고 그에게 전쟁을 통해 얻은 재물의 십분의 일을 멜기세덱에게 바치고 축복을 받습니다. 2. 타락한 소돔 왕(14:21-24) 살렘 왕 멜기세덱이나 아브라함과는 달리, 소돔 왕은 불경건하고 사악한 사람이었습니다. 그래서 아브라함은 타락한 그와 교제하기를 거부하였습니다(14:21-24). 아브라함과 하나님의 언약(15:1-21) 1. 아브라함의 믿음 없는 생각(15:1-3) 아브라함은 자신이 죽으면 자신의 모든 재산이 다메섹에서 온 종인 엘리에셀에게 넘어가게 될 것이라고 불평합니다. 왜냐하면, 아브라함에게는 적법한 상속자가 없기 때문입니다. 만일 엘리에셀이 모든 재산을 가지게 된다면, 그가 하나님의 언약의 상속자가 되고 말 것입니다. 2. 하나님의 신실한 확인(15:4-21) 하나님께서는 아브라...

말라기 3장 7절-12절, 순종을 통한 축복 - 묵상과설교 말씀묵상과 새벽설교

이미지
하나님께서는 말라기 선지자를 통하여,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과의 깨어진 관계를 회복하기 위하여 말씀에 순종해야 함을 알려 주셨습니다. 그리고 순종의 예로, 십일조에 대해 말씀하셨습니다. 말씀에 순종하는 자에게 하나님께서는 어떤 복을 주시는지 본문을 통하여 묵상하였습니다.  말라기 3장 7절-12절, 순종을 통한 축복 세상 일에 집착하던 야곱 얍복강가에서 하나님의 천사와 씨름한 야곱은, 이름이 "하나님과 겨루어 이기다"는 뜻의 "이스라엘"로 바뀝니다. 이렇게 이름을 바꿔 주신 이유는, 형 에서와의 만남을 두려워하던 그는, "축복해 주지 않으면 보내지 않겠습니다"(창 32:26)라고 간구했던 야곱의 기도를 들어 주신 결과입니다. 하나님과도 겨루어 이긴 야곱이, 형 에서를 만나는 것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야곱의 후손들을 우리는 "이스라엘 백성들"이라고 부릅니다. 그러므로 그들은 하나님의 축복을 받은 민족이었습니다. 단, 야곱에게나 이스라엘 백성들에게나 조건이 있었습니다. 그 조건은 바로 "하나님과의 관계"를 깨뜨리지 않고 지키는 것입니다. 하나님과의 관계를 깨뜨리고 하나님보다 요셉을 더 사랑하게 된 야곱은 아들 요셉을 잃어버리게 됩니다. 하나님께서는 요셉에게 집착한 야곱에게서 요셉을 데려가시고 애굽으로 보내셨습니다. 세상 일에 집착하던 이스라엘 자손들 야곱의 후손인 이스라엘 백성들도 하나님과의 관계를 깨뜨리지 말아야만 했었습니다. 그들은 하나님과의 관계를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만 했었습니다. 하지만, 말라기 선지자 시대의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보다 자신의 이기적인 욕심을 더 사랑하였습니다. 하나님과의 관계보다 세상의 물질에 더 관심이 많았습니다. 이미 바벨론에 의해 국가가 멸망하고 성전이 파괴되었던 경험을 하였던 이스라엘 백성들은, 포로에서 돌아와 성전을 재건하였습니다. 하지만, 그들의 삶의 중심에는 성전과 그 속에서 드리는 예배가 아니라, 세상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