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예루살렘성전인 게시물 표시

솔로몬이 건축한 예루살렘 성전(1차 성전)의 구조물 12가지의 의미들

이미지
다윗의 아들인 솔로몬은 주전 960년 경에 예루살렘 성전(1차 성전)을 건축하였습니다. 이 성전은 인간의 죄와 하나님의 용서의 은혜가 공존하는 거룩한 곳이었습니다. 솔로몬 성전의 구조물 12가지에 대한 구약의 의미와 신약의 의미를 정리하였습니다. 솔로몬이 건축한 예루살렘 성전(1차 성전)의 구조물 12가지의 의미들 성전과 예수 그리스도 하나님의 말씀에 불순종의 지었던 아담에게, 하나님께서는 죄의 결과가 사망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실제로 아담의 불순종으로 인하여 죄와 질병과 사망이 세상에 들어왔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께서는 자기 백성을 지극히 사랑하셨고 자비를 베풀어 주셨습니다. 바로 성전을 통한 제사로 일시적이지만 죄 사함의 은혜를 주신 것입니다. 시간이 흘러 하나님께서는 완전한 속죄의 방법을 세상에 주셨습니다. 바로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를 이 땅에 보내시고 십자가에서 제물로서 죽게 하신 방법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통하여, 누구든지 예수를 믿는 자는 대속의 은혜를 얻고 의롭다 인정함을 받게 되었습니다. 구약의 희생 제사는 일시적이었지만, 우리 주님의 죽으심과 대속의 은혜는 단 한번이지만 완전한 것입니다. 그림의 번호에 맞는 아래의 설명을 참조하십시오. 1. 놋제단 구약 시대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놋제단 에서 양이나 염소, 비둘기나 황소와 같은 동물을 통하여 정기적으로 제사를 드리도록 명령하셨습니다. 하나님께 드리는 동물들은 흠이 없어야 했으며, 그들의 피는 죄인을 일시적으로 의롭다 인정 받게 하였습니다. 이 과정을 통하여 이스라엘 백성들과 하나님과의 관계가 회복되었습니다. 신약 시대 예수님이 우리의 완전한 제물이 되어 주셨습니다. 주님은 죄가 없으신 분이시지만 우리를 위해 이 땅에 오셨고, 단번에 우리를 영원히 의롭다 인정 받게 하셨습니다. 더 이상은 그 어떤 희생 제사도 필요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2. 희생 제물 구약 시대 제물을 하나님께 가져 온 사람은, 짐승을 잡을 때 그 짐승의 머리에 손을 얹고 상징적으로 자신의 죄를...

시내산에서부터 언약궤(ארון הברית, the Ark of the Covenant)가 이동한 경로 14 장소

이미지
하나님은 지성소에 놓였던 언약궤 위의 속죄소(the Mercy Seat)에서 대제사장을 만나셨고 그들에게 말씀하셨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인 십계명 두 돌판이 들었던 언약궤 는 시내산에서 예루살렘까지 이동했는데, 그 이동 경로 22가지를 정리하였습니다. 시내산에서부터 언약궤(ארון הברית, the Ark of the Covenant)가 이동한 경로 14 장소 언약궤의 완성 1. 언약궤 속에 든 성물들 모세는 하나님의 명령을 따라, 만나를 담은 항아리를 언약궤 속에 넣었고(출 16:33-34), 아론의 싹이 난 지팡이를 언약궤 속에 담았습니다(민 17:8-10). 그리고 하나님께서는 시내산 정상에서 모세를 만나셨고, 십계명이 담긴 두 돌판을 주셨습니다. 모세는 그 돌판들을 언약궤 속에 담았습니다. 2. 언약궤의 제작과 완성 하나님께서는 언약궤를 만들라고 모세에게 말씀하시며 제작의 내용들을 지시해 주셨습니다(출 25장). 성소와 지성소를 구분하는 휘장이 제작되어 지성소가 특별하게 구별되었습니다(출 26:31-33). 언약궤가 지성소에 놓였습니다(출 40:1-21) 언약궤는 40년 동안 이스라엘이 광야를 다니는 동안에, 이스라엘과 함께 움직였습니다(레 16장, 민 4장, 신 10장) 1. 요단강을 건넌 언약궤 1. 언약궤를 멘 제사장들이 발을 요단강에 담궜을 때 하나님의 언약궤는, 이스라엘이 가나안 땅을 정복하기 위해 모압 평지를 지나 요단강을 건널 때 앞서서 움직였습니다. 제사장들이 언약궤를 메고 요단강에 발을 담궜을 때, 요단강의 흐르던 물줄기가 멈추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요단강 바닥을 걸어서 건너던 사이에 언약궤는 요단강 한 가운데 머물러 있었습니다. 모두가 건넌 후 하나님의 언약궤가 요단강을 나오자 요단강은 다시 흐르기 시작하였습니다(수 3장). 2. 돌 기둥을 쌓다 요단강 바닥에서 각 지파별로 돌을 가져다가 요단강을 건넌 후에 돌 기둥을 세웠습니다.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에게 베풀어 주신 은혜와 능력을 기념하기 위한 기둥이었습니다(수 4장). 2. 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