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예방인 게시물 표시

Pandemic 판데믹의 뜻과 위험 단계, 그리고 판데믹의 예방, 감염 시 수칙

이미지
   지금 우리 인류는 바이러스의 전세계적인 유행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각 나라별로 적절히 대처하고 있지만, 쉽게 전염이 되고 퍼져 나가는 코로나19바이러스는 여전히 우리의 삶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코로나19바이러스로 인한 세계적인 대유행, Pandemic 판데믹에 대한 뜻을 확인해 보고, WHO에서 공식적으로 말하는 위험 단계들과 판데믹의 예방에 대해 정리를 해 보고자 합니다. 현재까지 인류를 위협한 전염병들, 그리고 판데믹 Pandemic 상황과 그 대처 루푸스의 위험요인과 원인 - 유전과 전염성에 관하여, 희귀난치성질환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 접종 후 잇따르는 부작용? 우리는 아스트라제네카인가? 화이자와 모더나  1.  코로나19바이러스의 전염과 Pandemic 판데믹    우리는 지금 새로운 코로나19바이러스가 SARS-CoV-2라는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습니다. 흔히 COVID-19라고 부르는 코로나19바이러스는 전세계적으로 유행병하고 있다는 사실을 각종 보도들을 통하여 알고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질병의 대유행인 Pandemic 판데믹 그리고 전염병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그리고 언제 이러한 질병이 공중 보건을 위협하는 문제가 되는것일까요? 심각한 질병의 확산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가지는 것은, 자신과 가족, 그리고 공동체를 보호하기 위해 할 수 있는 필수적인 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Pandemic 판데믹과 질병 용어들    먼저 " 발병 " (outbreak) 이란 용어를 흔히 사용하는데, 이 용어의 뜻은 '갑작스럽게 많은 수의 질병이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용어의 사용은 한 지역에 국한되거나 혹은 더 넓은 지역에 확장되어 사용될 수 있습니다. 발병은 며칠 또는 몇 년 동안 지속될 수도 있습니다. 때로, 전문가들은 세계적인 전염병이 발생한 경우에도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지금까지...

수술로도 약물로도 치료할 수 없는 희귀 난치성 질환 젊은이의 병, 크론병

이미지
    크론병이라고 들어 보셨습니까? 우리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질병인 이 병은, 반복적인 수술과 치료를 통해서도 낫기 힘든 희귀 난치성 질환입니다. 특히 요즘은 20대의 젊은 나이에도 많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정의    온 몸 전체에서 각종 염증을 일으키는 장 질환의 일종으로, 입에서 항문까지 모든 장기에 악영향을 끼치는 희귀 난치성 질환의 일종입니다. 장기에 만성적인 염증을 일으키며, 장기에 구멍이 나게 하거나 염증으로 가득차게 만들어 장의 기능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질병입니다.    크론이라는 미국 의사가 처음 발견하여 크론병이라고 이름이 붙게 되었습니다.  증상    소장과 대장에서 증상이 많이 나타나는 병인 크론병은, 혈변, 복통과 설사, 체중 감소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게다가 크론병 환자의 66%는 치루나 치열, 항문 주위의 농양의 합병증까지 기자고 생활하게 됩니다.    또, 관절염이나 피부 눈 등의 면역성 질병이나 전신 관절통 등의 증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원인    희귀 난치성 질환으로 분류되고 있는만큼, 크론병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과거에는 서구에서 많이 발생한 병이었다는 점에서, 서양식 식습관과 관련된 것이 아닌지 추정하고 있습니다. 또 유전적인 요인에 의해 장내 미생물의 비정상적인 반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유전적인 요인과 관련 있다고 보는 이유는, 부모나 형제가 크론병을 앓고 있는 경우에는 최대 23% 정도의 크론병 발병 확률이 높아진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이 수치는, 5% 정도의 일반적인 크론병 발병률에 비하면 약 5배 가량 높은 수치입니다. 특징    주로 10대 후반에서 20대까지의 젊은 연령층의 환자들이 많은 편입니다. 이 질병이 젊은 층에서 많이 발생한다는 특징과 함께, 크론병의 합병증으로 대장암이 발생하거나 소장암,...

남자도 우울하고 답답하다, 남성 갱년기의 원인과 증상, 예방

이미지
   여성과 마찬가지로 남성의 나이 50이 다가오면, 흔히 말해 갱년기가 시작될 수 있다고들 합니다. 여성만 갱년기가 있는 것이 아니라, 여성만큼은 아니더라도 남성도 갱년기가 분명히 있습니다. 어떻게 아냐구요? 제가 갱년기에 가까운 것 같습니다. 괜히 우울하기도 하고 감정적으로 오락가락할 때가 있습니다.    진짜 갱년기가 시작되었는지 확인해 보고자, 남성 갱년기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갱년기 남성의 이중고    중년기의 남성은, 가정에서는 가장의 역할을 해야만 하고, 사회적으로는 자신의 위치를 지켜야만 합니다. 그리고 은퇴한 이후의 삶에 대한 계획도 세워야만 합니다. 특히 직장에서 느끼게 되는 압박감과 부담감은 남성들이 겪는 스트레스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이로 인하여 신체적이고 정신적인 문제를 발생시킵니다. 원인    우리 나라의 기대수명이 2020년에는 80.3세, 2030년에는 82.6세로 들어날 예정입니다. 이 말은 남성들도 오래 살게 되므로, 노년을 준비해야만 한다는 뜻입니다. 노년을 행복하게 살기 위해서는 경제적인 요소와 함께 신체적, 정신적 건강도 중요합니다.    40-50대의 남성들은 경제활동을 함으로 인해 경제적인 부분에서 안정적이지만, 노년기로 접어들면서 은퇴 등으로 인해 건강과 재정적 문제에 직면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중년기의 남성들은 노화와 관련하여 남성호르몬이 감소하게 되고 여성의 갱년기 증상과 유사한 남성 갱년기를 겪게 됩니다.    여러 실험의 결과들에 의하면, 직장을 다니는 일반적인 중년 남성들은, 스스로가 느끼는 주관적인 본인의 건강 상태가 양호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2009년에는 48.9%, 2018년에는 34.5%로 점점 낮아지고 있습니다. 그만큼 신체적 노화에 대해 스스로 깨닫고 경험하고 있다는 증거가 됩니다. 인간의 노화 늙어감 정의 원인 그리고 여러 이론들 부모님이 우울하대요 : 노인 우울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