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요한일서개요인 게시물 표시

요한 일서의 개요와 구조 - 그리스도인이 되기 위한 시험들 열 두 가지

이미지
요한 일서는 크게 세 부분-서문과 본문, 결론-으로 구분됩니다. 각 부분의 개요와 내용을 정리하고, 요한 일서의 구조를 정리하여, 요한 일서를 조금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요약하였습니다. 요한 일서를 통해 구원 받은 그리스도인으로서의 바른 삶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요한 일서의 개요와 구조 - 그리스도인이 되기 위한 시험들 열 두 가지 제1부, 요한 일서의 서문(1:1-4) 성육신 이전의 그리스도의 존재(1:1, 2) 그리스도의 역사적 나타나심(1:1-2) 그리스도에 관한 사도 요한의 선언(1:1, 3-4) 제2부, 요한 일서의 본문(1:5-5:12) 그리스도인이 되기 위한 첫 번째 시험 - 빛 가운데 행함(1:5-7) 그리스도인이 되기 위한 두 번째 시험 - 죄가 있음을 고백함(1:8-9) 그리스도인이 되기 위한 세 번째 시험 - 죄를 지었음을 고백함(1:10-2:2) 그리스도인이 되기 위한 네 번째 시험 - 그리스도의 계명을 지킴(2:3-6) 그리스도인이 되기 위한 다섯 번째 시험 - 형제를 사랑함(2:7-11) 그리스도인이 되기 위한 여섯 번째 시험 - 세상을 사랑하지 않음(2:12-17) 그리스도인이 되기 위한 일곱 번째 시험 - 아버지와 아들 안에 거함(2:18-28) 그리스도인이 되기 위한 여덟 번째 시험 - 의를 행함(2:29-3:10) 그리스도인이 되기 위한 아홉 번째 시험 - 형제를 사랑함(3:10-24) 그리스도인이 되기 위한 열 번째 시험 - 예수께서 육체로 오신 그리스도이심을 고백함(4:1-6) 그리스도인이 되기 위한 열한 번째 시험 - 형제를 사랑함(4:7-5:5) 그리스도인이 되기 위한 열두 번째 시험 - 하나님의 아들에 관한 하나님의 증거를 믿음(5:6-12) 제3부, 요한 일서의 결론(5:13-21) 그리스도인의 복된 확신(5:13-20) 사도 요한의 마지막 권고(5:21)

요한 일서의 개요, 사도 요한이 요한 일서를 쓴 목적과 그 특징들

이미지
사도 요한이 기록한 요한 일서는, 당시 교회들 속에 만연한 이단 사상을 경계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쓰여졌습니다. 그리고 요한 일서만의 독특한 특징들이 존재합니다. 요한 일서의 목적과 특징을 정리하여 요한 일서에 대하여 더 깊은 이해를 가지고자 합니다. 사도 요한이 요한 일서를 쓴 목적과 그 특징들 요한 일서의 논쟁적인 기록 목적 사도 요한은 요한 일서를 통하여 교회 안에 침투한 영지주의의 가르침( 가현설을 주장하는 영지주의자들과 세렌토스를 추종하는 영지주의자들 )을 반박하기 위하여 기록하였습니다. 요한 일서의 실제 기록 목적 1. 수신자들에게 여러 종류의 확인을 하기 위하여 교회의 지도자가 영지주의를 가르치는 교사인지 혹은 참 복음을 가르치는 교사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형제라고 말하는 자들이 거짓 형제인지 혹은 참 형제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신자들 스스로가 거짓 그리스도인인지 참 그리스도인인지를 확인하도록 하기 위하여(5:13) 2. 배교의 위험성 때문에 교회의 성도들이 영지주의 사상에 물들어 배교할 위험성이 있었고, 그 사실을 경고하고 그 결과에 대하여 알리기 위하여 요한 일서를 기록하였습니다. 3. 기쁨이 충만하도록 격려하기 위하여 영지주의 사상과 같은 이단 사상이 득세하는 상황 속에서, 바른 믿음과 복음에 관한 열정을 가지고 있는 참 그리스도인인 수신자들이 계속해서 빛 가운데 행하도록 격려하려는 목적 때문입니다. 또한 빛 가운데 행함으로써 수신자들의 기쁨이 충만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요한 일서의 주요 특징들 1. 편지 형식입니다. 비록 요한 일서에는 시작 인사나 독자들에 대한 감사, 마지막 축도도 없지만, 이 글의 내용이 따뜻하고 친밀함을 담고 있습니다. 그래서 요한 일서는 딱딱한 논문이나 설교라기보다는 편지의 형식으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해 보입니다. 2. 독특한 문장 사용 스타일 요한 일서는 문장이 짧고 단순합니다. 그러나 그 속에 담긴 복음에 대한 가르침은 매우 깊습니다. 그리고 사도 요한은 중요한 기독교 교리를 반복해서 언급하지만, 이같은 반복은...

요한 일서의 개요, 요한 일서를 쓰게 된 상황과 영지주의의 네 가지 질문들

이미지
사도 요한이 요한 일서를 쓰게 된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습니다. 교회 안에 영지주의가 생겨나면서 신앙이 흔들리고 교회가 위험에 봉착했기 때문입니다. 당시의 상황과 영지주의의 네 가지 질문들과 답, 그리고 이들이 부정하는 기독교 교리를 정리하였습니다. 요한 일서의 개요, 요한 일서를 쓰게 된 상황과 영지주의의 네 가지 질문들 요한 일서를 쓰게 된 배경 사도 요한이 요한 일서를 쓰게 된 상황은 이렇습니다. 그가 헌신하고 이끌던 교회들 안에 영지주의라는 위험한 이단이 들어왔고, 영지주의 존재를 깨닫게 된 사도 요한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요한 일서를 기록하였습니다. 영지주의라는 이단은, 초대 교회가 시작되기 이전부터 이미 존재했었습니다. 영지주의는 동양의 신비주의적인 가르침의 영향과 헬라의 합리주의적인 가르침, 유대교의 예식들이 뒤섞인 혼합적인 종교적 체계였습니다. 기독교가 시작된 이후, 영지주의는 기독교적 가르침을 자기들의 체계에 통합하려는 시도가 교회 안에서 벌어지게 되었습니다. 영지주의자들의 네 가지 질문과 그 대답 영지주의 체계 안에는 많은 분파들이 있었지만, 모든 영지주의자들은 물질은 변함이 없이 악하고 영은 변함없이 선하다는 공통적이고 기본적인 주장을 하고 있었습니다. 영지주의가 기독교와 혼합이 되었을 때, 물질과 영에 관한 기본적인 네 가지의 질문들이 제기되었습니다. 1. 천지창조에 관하여 첫째, 영적인 존재이신 하나님께서 어떻게 물질적인 우주를 창조하시고, 그렇게 하심으로써 자신을 악에 물들게 하지 않으실 수 있으셨습니까? 이 첫째 질문에 대해 영지주의자들은, 하나님이 자신보다 조금 덜 거룩한 존재를 창조하셨고, 이 존재는 계속해서 덜 거룩한 존재를 계속해서 창조해 내었다고 주장합습니다. 이렇게 계속해서 물질적인 세계를 창조할만큼 충분하게 악한 존재가 창조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악함을 내어 보내셨습니다. 이렇게 악을 내보내심으로써 하나님은 스스로를 악에 물들지 않도록 하셨다고 주장합니다. 2. 성육신 사건에 관하여 둘째, 영이신 예수 그리스도...

요한 일서의 개요 - 저자, 기록 장소와 기록 시기 그리고 수신자

이미지
매일성경큐티의 본문이 요한 일서로 옮겨가면서, 요한 일서의 개요를 정리하고 전체적인 배경을 이해하려 합니다. 그래서 요한 일서의 저자에 대한 내용과 기록 장소와 기록 시기에 대해 정리하고, 마지막으로 요한 일서의 수신자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요한 일서의 개요 - 저자, 기록 장소와 기록 시기 그리고 수신자 요한 일서의 저자 초기 기독교 시대로부터 대부분의 교회 학자들은 요한복음과 요한 일서, 요한 이서, 요한 삼서 그리고 요한 계시록의 저자는 사도 요한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학자들의 이같은 결론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할 이유는 전혀 없습니다. 요한은 세베대의 아들 야고보의 형제 사도 사랑의 사도 예수님의 중요한 세 제자들 중에 한 사람(나머지 두 사람은 베드로와 야고보) 주께서 사랑하시는 제자 오순절 이후 베드로와 함께 일했던 동역자 사도 바울의 순교 이후에 에베소 지역의 교회들을 감독한 자 신약 성경 중에 5권을 기록한 저자 입니다. 요한 일서를 기록한 장소와 시기 사도 요한은 사복음서와 사도행전의 첫 부분에만 등장하고, 사도행전 8장 이후에는 성경에 나타나지 않는 인물입니다. 갈라디아서 2장 9절에 따르면, 사도 바울이 A.D 67년에 순교한 이후에 사도 요한은 A.D. 66-70년 사이에 일어났던 유대인들의 반란 기간 동안에 에베소 지역으로 이동하였습니다. 에베소 지역의 교회들은 사도 바울과 요한이 협력해서 세운 교회들이었습니다. 전승에 따르면, 에베소 지역에서 사도 요한은 요한 일서를 비롯한 요한의 모든 서신서들이 기록된 장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요한 계시록은 A.D. 96년에 사도 요한이 유배되어 투옥된 밧모섬에서 기록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요한 일서가 사도 요한의 삶의 후반부인 A.D. 85-90년 사이에 쓰여졌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많은 증거들이 있습니다. 아마도 요한 일서는 요한 복음이 쓰여지기 직전에 기록되었을 것이며, 요한 계시록이 쓰여지기 전에 기록되었을 것입니다. 요한 일서의 수신자 요한 일서는 개인이나 지역 교회나 보편적인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