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욥기강해인 게시물 표시

욥기강해, 욥기 1장 의인 욥의 고난 - 신학적 역사적 배경과 본문 이해

이미지
욥기 1장, 의인 욥의 고난    심한 고난 속에서도 욥은, 자신의 진실함에 대한 하나님의 확신에 부응합니다. 하나님은 욥의 믿음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계셨고, 욥은 실제로 하나님의 확신과 같이 하나님을 신뢰하였습니다.  욥의 고난을 담고 있는 욥기 강해를 위한 욥기 개요 기독교 성경의 형성 역사와 정경화 과정, 신약 성경도 구전되었다 이사야 60장 1절-22절, 매일성경큐티와 새벽설교를 위한 본문주석 ■ 욥기 1장의 핵심 주제 여호와께서는 욥의 의로운 삶의 모습을 칭찬하십니다 사탄은 욥의 행동들 뒤에 숨겨진 동기에 대해 의심합니다. 욥의 고난은 그가 통제할 수 없는 요인들에 의해 발생합니다. 감당할 수 없는 욥의 고난에도 불구하고, 여호와를 향한 변함없는 헌신으로 욥은 인내합니다. ■ 본문 이해하기    욥기 1장과 2장의 본문은 욥기 전체의 서론의 역할을 합니다. 1장에서는, 주인공인 욥이 매우 모범적인 성격을 소유한 사람으로 소개됩니다. 욥기 1장을 서술하는 저자(1:1)와 여호와(1:8)는 모두 욥이 비난 받을 만한 부분이 없고 의로우며 하나님을 경외하는 경건한 사람이라고 설명합니다. 그리고 욥기의 나머지 부분들은 바로 이 서론을 염두에 두고 읽기 위해 쓰여졌다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욥이 직면하게 된 극심한 고난 속에서 욥은 하나님을 향한 불평을 할 수도 있겠지만, 욥의 고난에도 불구하고 그는 경건하고 의로운 사람이라는 사실을 서론에서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    서론인 욥기 1-2장과 결론 부분인 42장 7-17절은 모두 산문의 형태로 쓰여졌지만, 나머지 부분들은 거의 대부분 시의 형태입니다. 서론과 결론은 길고 복잡한 욥기의 문학적이고 해석적인 틀의 역할을 합니다. 사실, 이같은 서론과 결론이 없다면, 나머지 부분들을 일관성 있는 이야기로 이해하기는 매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역사적 문화적 배경    이스라엘 밖의 고대 근동의 종교들은 다신교였으며, 이 종교들의 대부분...

욥의 고난을 담고 있는 욥기 강해를 위한 욥기 개요

이미지
   욥의 고난을 이해하고 강해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욥기에 대한 전체적인 개요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욥기는 시가서로 분류되는 성경으로, 그 속에는 신학과 더불어 문학적인 요소가 많이 담겨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욥기 강해에 앞서서 욥기의 저자와 저작 시대 그리고 구조 등에 대해 먼저 확인하고 욥기 강해를 이어가려고 합니다. 히브리 성경의 토라, 느비임 그리고 케투빔의 편집 역사 ■ 욥기의 저자와 저작 시기 그리고 설정    욥기에는 욥기의 저자와 저작 시기에 대한 어떠한 표시나 정보가 나타나 있지 않습니다. 이 이야기는 이스라엘 땅의 밖에 있는 에돔 땅을 배경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언제 욥의 고난이 있었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말하기가 힘이 듭니다. 또한 저자들이 자신의 글과는 다른 역사적 시기로 설정하여 글을 작성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욥기의 문학적 배경과 저작 시기는 동일하지 않을 가능성이 많습니다. 게다가 욥기 전체를 관통하는 주제는 "욥의 고난"이며 모든 시대의 인간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하는 고통이 담겨 있습니다.    이와 같은 불확실한 요인들이 있기 때문에, 욥기의 연구 역사를 통들어 주석가들은 이 책을 누가 언제 썼는지에 대해 매우 다양한 의견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유대교의 바벨론 탈무드는 이 책이 모세가 기록하였다고 설명하지만, 많은 랍비들은 다른 대안들을 제시합니다. 초대 교회의 교부였던 유세비우스는 이 책이 아브라함의 시대에 기록된 내용들을 담고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다른 주석가들은 이스라엘 역사 전반에 걸쳐 저작 시대를 주장해 왔으며, 일부는 욥의 고난이 담겨 있는 욥기가 유대인들이 포로의 고난을 당했던 포로기(주전 6세기 이후)에 쓰여졌다고 설명하기도 합니다.    욥의 이야기가 담긴 욥기의 내용을 들여다 보면, 많은 세부적인 사항들이 아브라함과 이삭, 야곱의 시대였던 족장 시대의 가부장적인 상황들과 잘 맞아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