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원죄인 게시물 표시

인간의 의지 vs 하나님의 은혜: 1600년 신학 논쟁의 핵심, 어거스틴과 펠라기우스

이미지
인간의 노력으로 구원받을 수 있을까, 아니면 전적인 하나님의 선물일까? 1600년 전 시작된 어거스틴과 펠라기우스의 자유의지 논쟁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같은 질문을 던집니다. 원죄, 은혜, 구원에 대한 두 거인의 대립을 5가지 핵심으로 요약하여 나눕니다. 인간의 의지 vs 하나님의 은혜: 1600년 신학 논쟁의 핵심, 어거스틴과 펠라기우스 1. 낙관 vs 비관: 인간 본성에 대한 극단적 대립 펠라기우스는 인간의 능력에 대해 깊은 신뢰를 보였습니다. 그는 아담의 죄는 단지 나쁜 선례일 뿐, 후손에게 죄책이나 타락한 본성이 유전되지 않는다고 주장했습니다. 따라서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선과 악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완전한 자유의지를 지니고 있으며, 자신의 노력으로 율법을 온전히 지킬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반면 어거스틴은 정반대의 입장을 취했습니다. 그는 아담이 인류의 대표로서 죄를 지었기에, 모든 후손은 태어날 때부터 죄책과 오염된 본성을 물려받는 '죄의 덩어리'(massa peccati)라고 선언했습니다. 타락 이후 인간의 의지는 죄의 노예가 되어 스스로 선을 행할 능력을 완전히 상실했다고 보았습니다. 2. 죄는 '행위'인가, '상태'인가: 죄의 본질에 대한 논쟁 인간 본성에 대한 다른 시각은 죄를 이해하는 방식의 차이로 이어졌습니다. 펠라기우스에게 죄는 개인이 자유의지를 잘못 사용해 저지르는 의지적 '행위'(act)였습니다. 죄는 인간의 본성 자체가 아니라 잘못된 선택의 결과일 뿐이므로, 이론적으로 인간은 죄를 짓지 않고 완전한 삶을 사는 것이 가능하다고 믿었습니다. 그러나 어거스틴에게 죄는 개별적인 행위 이전에 모든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처해 있는 보편적인 '상태'(state)이자 실존적 조건이었습니다. 즉, 인간은 죄를 짓기 때문에 죄인이 되는 것이 아니라, 죄인이라는 근본적인 상태에 있기 때문에 죄를 지을 수밖에 없는 존재(non posse non peccare)라고 ...

우리는 누구인가: 기독교 인간론의 눈으로 본 인간 이해

이미지
기독교 신학의 인간론은 우리가 누구인지에 대한 근원적 질문에 답합니다. 인간의 본질인 '하나님의 형상'(ImagoDei), 죄로 인한 '타락',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형상의 회복' 과정을 통해 인간의 존엄성과 소망에 대해 살펴보고 정리하였습니다. 우리는 누구인가: 기독교 인간론의 눈으로 본 인간 이해 서론: 인간, 신학의 중심 질문 우리는 누구이며,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이것은 인류의 가장 오래된 질문 중 하나입니다. 기독교 신학의 한 분과인 인간론(Theological Anthropology) 은 이 근원적인 질문에 대해 " 하나님과의 관계 "라는 틀 안에서 답을 찾으려는 학문적 시도입니다. 인간론은 단순히 인간의 심리나 사회적 행동을 분석하는 것을 넘어, 창조주이신 하나님 앞에서 인간이 어떤 존재로 만들어졌으며, 현재 어떤 상태에 있고, 앞으로 어떤 존재가 되어야 하는지를 탐구합니다. 이 글은 기독교 인간론의 핵심 개념인 '하나님의 형상', '죄와 타락', 그리고 '그리스도를 통한 회복'을 중심으로 우리가 누구인지를 쉽고 명료하게 탐색해보고자 합니다. 본론 1: 인간의 원형, '하나님의 형상' (ImagoDei) 기독교 인간론의 가장 중요한 출발점은 창세기 1장 27절의 " 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라는 선언입니다. 여기서 '하나님의 형상', 라틴어로는 ImagoDei 는 인간의 본질과 존엄성의 근거가 됩니다. 신학자들은 이 '형상'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크게 세 가지 관점에서 설명해왔습니다. 첫째는 실체적 관점(Substantive View)입니다. 이는 하나님의 형상이 인간 내면의 어떤 고유한 속성, 예를 들어 이성, 영혼, 자유의지와 같은 신(神)적인 특성과 유사한 부분이라고 보는 견해입니다. 인간이 다른 피조물과 구별되어 사유하고...

창세기 3장 눈을 크게 뜨라, 복음적 설교

이미지
  성경 : 창세기 3장 설교 : 눈을 크게 뜨라 중심 주제    죄는 하나님과 우리의 관계 그리고 우리 주변의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개요    대중적인 문화에서는 때로 "성"(性)을 "원죄"(original sin)로 묘사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성경은 그렇게 말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원죄는 하나님께서 정하신 선과 악의 정의에 대해 '의문을 가지고'(3:1), '도전하고'(3:4) 그리고 나서 '불순종하는 것'(3:6)을 말합니다(창세기 2:16-17). 아담과 하와는 둘 다 끔찍한 실수를 하였으며 그 실수로 인한 즉각적인 결과를 맞이해야만 했습니다.    하지만 좋은 소식인 복음은 하나님께서 인간이 저지른 죄의 문제를 해결할 계획을 가지고 계시다는 사실입니다. 하나님의 그 계획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절정에 이르게 됩니다. 설교의 구조    1. 원죄       A. 하나님을 의심하기(3:1)       B. 하나님께 도전하기(3:4)       C. 하나님께 불순종하기(3:6)    2. 죄의 결과       A. 하나님과 우리와의 관계에서(3:10)       B. 다른 사람들과 우리와의 관계에서    3. 죄의 해결       A. 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계획(요한복음 3:16)       B. 예수 그리스도(요한일서 2:2; 4:10) 말씀 적용    지금이라도 죄에 대해 단호히 "안돼"라고 말하고 예수 그리스도께 "알겠습니다"라고 말하는 것은 결코 늦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