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원죄인 게시물 표시

우리는 누구인가: 기독교 인간론의 눈으로 본 인간 이해

이미지
기독교 신학의 인간론은 우리가 누구인지에 대한 근원적 질문에 답합니다. 인간의 본질인 '하나님의 형상'(ImagoDei), 죄로 인한 '타락',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형상의 회복' 과정을 통해 인간의 존엄성과 소망에 대해 살펴보고 정리하였습니다. 우리는 누구인가: 기독교 인간론의 눈으로 본 인간 이해 서론: 인간, 신학의 중심 질문 우리는 누구이며,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이것은 인류의 가장 오래된 질문 중 하나입니다. 기독교 신학의 한 분과인 인간론(Theological Anthropology) 은 이 근원적인 질문에 대해 " 하나님과의 관계 "라는 틀 안에서 답을 찾으려는 학문적 시도입니다. 인간론은 단순히 인간의 심리나 사회적 행동을 분석하는 것을 넘어, 창조주이신 하나님 앞에서 인간이 어떤 존재로 만들어졌으며, 현재 어떤 상태에 있고, 앞으로 어떤 존재가 되어야 하는지를 탐구합니다. 이 글은 기독교 인간론의 핵심 개념인 '하나님의 형상', '죄와 타락', 그리고 '그리스도를 통한 회복'을 중심으로 우리가 누구인지를 쉽고 명료하게 탐색해보고자 합니다. 본론 1: 인간의 원형, '하나님의 형상' (ImagoDei) 기독교 인간론의 가장 중요한 출발점은 창세기 1장 27절의 " 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라는 선언입니다. 여기서 '하나님의 형상', 라틴어로는 ImagoDei 는 인간의 본질과 존엄성의 근거가 됩니다. 신학자들은 이 '형상'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크게 세 가지 관점에서 설명해왔습니다. 첫째는 실체적 관점(Substantive View)입니다. 이는 하나님의 형상이 인간 내면의 어떤 고유한 속성, 예를 들어 이성, 영혼, 자유의지와 같은 신(神)적인 특성과 유사한 부분이라고 보는 견해입니다. 인간이 다른 피조물과 구별되어 사유하고...

창세기 3장 눈을 크게 뜨라, 복음적 설교

이미지
  성경 : 창세기 3장 설교 : 눈을 크게 뜨라 중심 주제    죄는 하나님과 우리의 관계 그리고 우리 주변의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개요    대중적인 문화에서는 때로 "성"(性)을 "원죄"(original sin)로 묘사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성경은 그렇게 말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원죄는 하나님께서 정하신 선과 악의 정의에 대해 '의문을 가지고'(3:1), '도전하고'(3:4) 그리고 나서 '불순종하는 것'(3:6)을 말합니다(창세기 2:16-17). 아담과 하와는 둘 다 끔찍한 실수를 하였으며 그 실수로 인한 즉각적인 결과를 맞이해야만 했습니다.    하지만 좋은 소식인 복음은 하나님께서 인간이 저지른 죄의 문제를 해결할 계획을 가지고 계시다는 사실입니다. 하나님의 그 계획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절정에 이르게 됩니다. 설교의 구조    1. 원죄       A. 하나님을 의심하기(3:1)       B. 하나님께 도전하기(3:4)       C. 하나님께 불순종하기(3:6)    2. 죄의 결과       A. 하나님과 우리와의 관계에서(3:10)       B. 다른 사람들과 우리와의 관계에서    3. 죄의 해결       A. 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계획(요한복음 3:16)       B. 예수 그리스도(요한일서 2:2; 4:10) 말씀 적용    지금이라도 죄에 대해 단호히 "안돼"라고 말하고 예수 그리스도께 "알겠습니다"라고 말하는 것은 결코 늦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