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주야로묵상인 게시물 표시

마태복음 5장 43절-48절, 원수를 미워하지 말고 사랑해야 하는 이유 - 산상수훈 큐티

이미지
마태복음 5장 43절부터 48절까지의 말씀은, 예수님의 산상수훈으로 원수까지의 사랑을 명령하시는 내용입니다. 원수 사랑은 새로운 내용이 아닙니다. 신약 성경과 구약 성경이 공통적으로 강조하는 "원수 사랑"에 대한 이유를 생각하고 정리하였습니다. 마태복음 5장 43절-48절, 원수를 미워하지 말고 사랑해야 하는 이유 원수 사랑의 계명은 구약의 율법 원수까지도 사랑하라는 예수님의 말씀은, 구약 시대의 이스라엘 백성들이 중요하게 생각했던 율법의 정신과 완전히 일치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동방의 의인인 욥은, 자신을 매우 미워하는 사람이 고난을 당할 때에조차 어떤 악감정을 가지거나 기뻐하는 것은 죄악이라고 생각했습니다(욥 31:29). 모세는 율법을 통하여, 이스라엘 자손들이 자신들의 원수까지도 도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출 23:4-5). 원수가 배고파 하고 목이 말라서 고통을 당할 때, 물과 빵을 주어야 한다고 구약 성경은 말하고 있습니다(잠 24:17). 유대교 랍비들의 잘못된 가르침 사실 원수가 미움을 받고 보복을 행해야 한다는 규정은, 하나님께서 주신 율법에다가 유대교 랍비들이 추가한 내용입니다. 하나님께서는 모세를 통하여 하나님의 백성인 이스라엘이 이웃을 사랑해야 한다고 명령하셨습니다(레 19:18). 그런데 유대교 랍비들은 하나님의 이 말씀을 "원수를 미워하는 것"을 암시한다고 해석하였습니다. 이들은 "친구"와 "이웃"은 오직 유대인들에게만 적용이 되며, 이방인들은 유대인과 친구 혹은 이웃이 될 수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므로 이방인은 축복과 사랑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랍비들은 강조하였습니다. 원수 사랑으로 복음을 완성하신 예수님 그러나 예수님은 복음을 선포하셨습니다. 천지를 창조하신 하나님은 유대인들만의 하나님이 아니라, 모든 열방의 하나님이십니다. 모든 민족들을 창조하신 하나님을 신뢰하고 따라간다면, 누구나 이방인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며 더 나아가 원수까지 사랑해야 합니다. ...

[주야로 묵상] 신랑을 위해 신부가 준비해야만 하는 것

이미지
성경은 예수님이 신랑이시고 모든 믿는 자들이 신부로 비유하기도 합니다. 신랑이신 예수님이 다시 오시겠다고 약속하셨는데, 신앙을 위해 신부된 우리가 준비해야 하는 것이 무엇일까요? 주의 재림을 위한 우리의 준비에 대하여 묵상하고 나눕니다. 신랑을 위해 신부가 준비해야만 하는 것 희생과 포기는 어려운 일입니다 희생과 포기는 항상 어려운 선택을 우리에게 요구합니다. 하지만 희생과 포기는 더 큰 사랑으로 우리를 인도해 나갑니다. 우리가 진정한 사랑을 위해 우리 스스로를 희생하고 포기하기 위한 선택을 해야만 합니다. 우리가 이같은 선택을 해야 하는 이유는, 하나님께서 희생적인 사랑을 기뻐하시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선택을 한다는 것은, 우리가 선택하는 일에 대한 망설임이나 주저함 없이 행동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을 사랑한다면 1. 희생과 포기는 고통입니다 우리는 하나님을 사랑하기 때문에 희생과 포기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희생과 포기는 하나님에 대한 일시적인 감정으로서의 사랑이 아니라, 우리의 믿음의 표현으로써의 사랑을 의미합니다. 사실, 저를 포함한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자신들의 희생과 포기로 인한 고통만을 생각합니다. 이러한 생각이 전혀 틀린 것은 아닙니다. 희생과 포기는 정말 우리를 고통스럽게 합니다. 2. 십자가의 고통에 비하겠습니까 그러나 우리를 위해 끔찍한 고통을 당하시며 십자가에 달리신 예수님께 우리의 시선을 고정하고 있다면, 우리는 조금이라도 희생과 포기를 선택할 것입니다. 우리가 선택한 희생과 포기가 아무리 끔찍한 고통의 시간이 된다 할지라도, 예수님의 십자가의 고통과는 비교할 수 없을 것입니다. 희생과 포기는 진정한 자유를 가져다 줍니다 우리가 스스로 희생과 포기를 선택한다고 해서 우리의 영혼이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가 즐길 수 있는 즐거움을 포기한다고 해서 우리의 삶이 허무해지는 것도 아닙니다. 오히려, 우리가 세상의 즐거움들을 예수 그리스도를 위해 포기하고 희생할 때, 우리의 영혼이 진정한 해방과 자유를 느끼게 됩니다. ...

주의 말씀을 즐거워할 때, 시편 1편 1절-6절 - 묵상과 설교

이미지
오늘날 우리 시대의 가장 큰 위기는 나 자신이 누구인지 헷갈린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말씀은 기준(canon)이 되기에 말씀 속에서 "내가 누구인지"를 찾을 수 있습니다. 주의 말씀을 즐거워할 때, 나를 찾고 진정한 복 있는 사람이 될 수 있음을 묵상하고 설교로 정리하였습니다. 주의 말씀을 즐거워 할 때 시편 1편 1절-6절, 개역개정 성경 1 복 있는 사람은 악인들의 꾀를 따르지 아니하며 죄인들의 길에 서지 아니하며 오만한 자들의 자리에 앉지 아니하고 2 오직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여 그의 율법을 주야로 묵상하는도다 3 그는 시냇가에 심은 나무가 철을 따라 열매를 맺으며 그 잎사귀가 마르지 아니함 같으니 그가 하는 모든 일이 다 형통하리로다 4 악인들은 그렇지 아니함이여 오직 바람에 나는 겨와 같도다 5 그러므로 악인들은 심판을 견디지 못하며 죄인들이 의인들의 모임에 들지 못하리로다 6 무릇 의인들의 길은 여호와께서 인정하시나 악인들의 길은 망하리로다, 아멘! 멀티 페르소나의 시대 우리 시대가 맞이한 가장 큰 문제점은, 나 자신에 대한 확신과 정체성의 혼란의 문제라 정의할 수 있습니다. 현대인은 "멀티 페르소나"의 시대 속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페르소나"(persona)라는 말은 그리스 시대의 배우들이 얼굴에 쓰던 "가면"을 뜻하는 말입니다. 이 가면을 쓰면, 배우의 본래 모습은 사라지고 가면이 나타내는 인물이 됩니다. 장군의 가면이 쓰면, 배우가 장군이 됩니다. 임금의 가면을 쓰면, 배우가 즉시 임금으로 변화합니다. 이처럼 본래의 모습을 가리고 외적으로 드러나는 모습 혹은 성격을 '페르소나'라고 부른다고 심리학자인 융은 정의를 내렸습니다. 문제는 오늘날 우리는 '페르소나'가 너무나도 많다는데 있습니다. 그래서 현대 사회를 "멀티 페르소나"(Multi Persona)의 시대라고 부릅니다. 겉이 다르고 속이 다르다는 뜻입니다. 물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