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추수감사절의본질인 게시물 표시

추수감사절의 기원과 확정 그리고 그 본질에 대하여

이미지
한국교회는 해마다 11월 셋째 주일이 되면 추수감사절을 지킵니다. 요즘은 성탄절과 너무 가깝다는 이유로 11월 첫째 주일을 추수감사절로 지키는 교회들도 있는데, 추수감사절의 의미에서 벗어난 모습이라 여겨집니다. 추수감사절의 기원과 확정, 본질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추수감사절의 기원과 확정 그리고 그 본질에 대하여 추수감사절의 기원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들을 애굽에서 구원하시면서, 가나안 땅에 들어가거든 절기를 지키라고 명령하셨습니다. 그래서 유대인들에게는 하나님께서 명령하신 3대 절기가 있는데, 유월절(Passover), 맥추절(Feast of Harvest) 그리고 장막절(feast of Tabernacle)이 바로 그 절기들입니다. 1. 3대 절기의 개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을 애굽에서 구원해 주신 절기를 유월절이며, 보리를 거두는 시기에 수확을 거두게 하신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하는 절기를 맥추절이라 합니다. 맥추절은 한 해의 첫 수확을 거두는 절기이기 때문에 초실절이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또, 맥추절은 유월절 후 50일이 지난 날이기에 오순절 혹은 칠칠절로 부르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초막절은 광야 40년 동안 하나님께서 인도해 주셨음을 감사하는 절기로, 장막절이라 부르기도 하며 한 해의 추수를 마무리는 하는 때와 맞닿아 있기 때문에 수장절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2. 3대 절기의 핵심 주제, 감사 이스라엘의 3대 절기인 유월절이나 맥추절, 초막절 등은 모두 구원과 감사의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맥추절과 장막절 혹은 수장절은 추수와 관련이 있지만, 추수에 대한 감사와 함께 하나님의 구원에 대한 감사가 맥추절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또한 수장절 역시 광야 40년 동안 지키시고 돌보신 하나님께 감사하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유월절, 맥추절 그리고 초막절은 모두 감사가 그 핵심 주제입니다. 3. 추수감사절 메이플라워 호를 타고 신앙의 자유를 찾아 미국 대륙으로 건너간 청교도들이 미국 대륙에서 처음 추수하고 하나님께 감사의 ...

신명기 16장 9절-22절, 추수감사절을 어떻게 지켜야 합니까 - 추수감사주일 설교

이미지
  추수감사절은 하나님께 감사드리는 주일입니다. 그러나 오늘 우리의 감사가 형식적으로 변질된 것은 아닌지 돌아보고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더 나아가, 추수감사절의 헌금을 부담스러워하는 성도들도 있습니다. 이같은 부분들에 대해 성경은 어떻게 설명하는지 추수감사주일 설교로 전합니다. 신명기 16장 9절-22절, 추수감사절을 어떻게 지켜야 합니까 들어가며 오늘은 우리 한국 교회가 추수감사절로 지키는 주일입니다. 본문을 중심으로 오늘날 우리가 추수감사절을 어떻게 지켜야 할 것인가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주위에서 종종 오늘날 우리는 농사를 짓지 않기 때문에 또는 추수감사절은 미국에서 유래되었기 때문에 추수감사절을 지킬 필요가 없다는 이야기를 듣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옳지 못합니다. 왜냐하면 추수감사절은 단순히 추수에 대한 감사를 위해서 지키는 것이 아니며, 추수감사절의 근거도 미국의 청교도에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추수감사절의 근거 먼저, 추수감사절의 근거는 성경에 있습니다. 다음으로, 추수감사절은 단순히 추수를 감사하는 절기가 아니라 구원에 대한 감사와 함께 드려지는 절기였고 이웃들과 함께 자신들의 기쁨과 감사를 나누는 절기였습니다. 오늘날 추수감사절을 지킴에 있어서 문제의 핵심은 형식만 있고 본질이 사라져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추수감사절을 지키되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방법과 자세로 지켜야 합니다. 그러면 추수감사절을 어떻게 지켜야 되겠습니까? 먼저, 정한 시기에 하나님께 감사의 예배를 드려야 합니다. 본문을 보면, 하나님께서 맥추절과 장막절의 시기를 정해주시면서 공동체가 함께 모여 하나님 앞에 지키라고 하였습니다(신 16:10, 15. 참고, 신 26:1-11). 이것은 온 교회가 규칙적으로 시기를 정해놓고 지키되, 예배를 드림으로 지켜야 함을 말씀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시기를 정하고 우리 기독교의 중요한 절기 가운데 하나로 추수감사절을 지키는 것은 바람직합니다. 또한, 좀 더 구체적인 부분은 우리가 좀 더 생각해 보아야 하겠지만, 많은 교회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