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파블로프의개인 게시물 표시

심리학 개론 - 9. 학습 (1) - 배워야 살아 남는다

이미지
심리학 개론 - 9. 학습 (1) - 배워야 살아 남는다. "학습"에 대한 부분의 부제는 "배워야 살아 남는다"라고 정해 보았습니다. 왜냐하면, 학습을 해야 여러 부정적인 자극을 피하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 "학습"에 대해 학습해 보겠습니다. 1. 학습의 원리 1) 학습의 정의 - 학습이란, 경험을 통하여 얻어지는 행동과 지식에서의 비교적 영속적인 변화를 말합니다. 조금 어렵게 표현되어 있지만, 학습을 통하여 우리의 지식과 행동을 긍정적으로 변화 시켜 나가는 것을 말합니다. - 학습을 통하여 지식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 학습의 과정을 통하여, 훈련과 경험을 통한 행동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 행동잠재력 상의 변화: 학습(learning)과 수행(performance)을 구분하기 위해 2) 학습의 요소 ① 경험 - 훈련이나 경험을 통해 새로운 행동을 학습하는 것은 사람과 동물이 비슷합니다. 동물도 어린 시절부터 부모의 모습을 따라하며 경험을 통해 생존법을 학습하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사람은 좀 더 복잡하고 정교한 행동 학습을 할 수 있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② 변화 - 학습은 행동의 변화가 나타나야 하며 행동 변화가 곧 학습 활동의 목적이 됩니다. 그리고 행동의 변화는 긍정적 변화를 목표로 합니다. - 학습의 결과로 발생한 변화는 관찰 가능한 행동으로 나타나야만 합니다. 그러므로, 가치관이나 태도, 신념 같이 직접 관찰할 수 없는 내적인 행동도 학습 활동을 통해 변화할 수 있습니다. 변화된 사고, 신념, 가치관은 이를 반영하는 행동을 통해 변화했음을 알 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학습의 과정을 통하여 '이타심'을 배울 수 있고, '노인에게 자리를 양보'하는 행동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 학습은 ...

심리학 개론 - 2. 심리학 역사의 흐름

이미지
지난 번에는 " 심리학 개론 - 1. 심리학은 어떤 학문인가? "에 대해 공부했습니다. 오늘은 " 심리학 개론 - 2. 심리학 역사의 흐름 "에 대해 공부해 보려고 합니다. 심리학 개론 2. 심리학 역사의 흐름   고대의 사람들은 먹고 사는 문제가 해결되고 주거 상황이 안정되자, 인간에 대한 고뇌를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래서 주요한 문명들 속에는 인간과 신(神)과의 관계, 인간의 존재에 대한 고찰의 과정을 통하여 인간을 이해하고자 하였습니다.   도대체 사람은 무엇인가? 가족은 누구이며 나는 누구인가?   사회적 공동체 생활을 하는 과정 가운데, 인간이라면 누구나 하게 되는 고민입니다. 저는 주로 사춘기 시절에 했던 고민으로 기억됩니다.    왜 공부해야 하나? 왜 나는 이런 모습인가?    그러한 생각과 고민 가운데 나 자신의 정체성을 알아가고, 인간의 존재와 다른 사람의 존재에 대해서 조금씩 깨달아 갔던 것 같습니다.   심리학도 " 인간의 기본적인 사유(思惟)의 과정" 을 통해서 시작되고 발전하였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철학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하지만 심리학은 사유의 과정과 함께 " 과학적 실험과 연구 "도 병행하는 학문이라는 점에서 "철학"과 차이가 있습니다.   그래서 심리학의 역사는, "과학의 이전과 과학의 이후"로 구분하여 생각해야 합니다.   1) 과학 이전의 심리학     (1) 고대 철학자       - 플라톤(Plato,  Πλάτων)          : 지식의 원천에서 감각에 대해 의심을 하게 됩니다. 감각은 상당히 왜곡될 가능성이 많으며 주관적이기 때문입니다. 같은 음식이라도 먹는 사람에 따라 맛을 다르게 느낍니다. 어떤 사람은 짜게 느끼지만 또 다른 사람은 같은 음식을 먹었음에도 불구하고, 맛있다고 느끼기도 합니다. 이러한 감각의 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