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하나님의성품인 게시물 표시

기도: 거룩한 대화의 본질과 영적 성장의 토대 - 조직신학 연구

이미지
기도는 단순한 종교적 의식을 넘어서는 깊은 영적 교제의 통로입니다. 이 글에서는 기도의 본질적 의미와 목적을 탐구하고,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기도가 가지는 중요성을 살펴봅니다. 특히 현대 사회에서 자주 오해되는 기도의 진정한 가치를 재조명하고, 이를 통한 영적 성장의 과정을 심도 있게 다룹니다. 기도: 거룩한 대화의 본질과 영적 성장의 토대 서론 인간의 영적 여정에서 기도는 항상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 해왔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기도를 단순히 소원을 이루기 위한 수단이나 형식적인 종교 의식으로 이해하지만, 그 본질적 의미는 이보다 훨씬 더 깊고 풍성합니다. 특히 현대 사회에서 기도의 진정한 의미와 가치는 종종 왜곡되거나 축소되어 이해되곤 합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기도의 본질과 목적에 대해 다시 연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기도의 근본적 정의와 목적, 그리고 그것이 우리의 영적 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깊이 있게 탐구해보고자 합니다. 본론 첫째, 기도의 본질적 정의 기도의 가장 기본적인 정의는 " 하나님과의 개인적인 소통 "입니다. 이 간단해 보이는 정의 속에는 깊은 신학적 의미가 내포되어 있습니다. '개인적'이라는 표현은 기도가 형식적이거나 의례적인 것이 아닌, 진정한 관계적 차원의 소통임을 암시합니다. 이는 마치 자녀가 부모와 나누는 친밀한 대화와 같은 것입니다. 더 나아가 이러한 소통은 단순히 말을 주고 받는 것을 넘어서는 전인격적 만남을 의미합니다. 우리의 생각, 감정, 의지가 모두 포함된 전체적인 교제가 기도를 통해 이루집니다. 둘째, 하나님이 원하시는 기도의 목적 예수님은 마태복음 6장 8절에서 " 그러므로 그들을 본받지 말라 구하기 전에 너희에게 있어야 할 것을 하나님 너희 아버지께서 아시느니라 "고 말씀하셨습니다. 이는 하나님이 우리의 필요를 파악하기 위해 기도를 요구하시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보여줍니다. 오히려 기도의 첫 번째 목적은 우리가 하나님을 신뢰하고 의지...

악의 문제와 하나님의 주권 - 조직신학 연구

이미지
왜 이 세상에 악이 존재할까요? 전능하신 하나님께서 모든 것을 주관하신다면, 악의 존재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이 글에서는 악의 문제와 하나님의 주권이라는 오래된 질문을 탐구하며, 우리가 일상에서 마주하는 고통과 악의 현실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하나님의 더 큰 목적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악의 문제와 하나님의 주권 서론 "왜 이런 나쁜 일이 일어나야만 했을까요?" 이는 우리 모두가 한 번쯤 던져보았을 질문입니다. 특히 믿음의 여정 중에 만나는 고통과 악의 현실은 우리를 당황스럽게 만듭니다. 전능하시고 선하신 하나님께서 계신다면, 왜 이 세상에 악이 존재하는 걸까요? 오늘은 이 오래된 질문에 대해, 특별히 하나님의 주권이라는 관점에서 함께 생각해보려 합니다. 본론 첫째, 악의 현실과 하나님의 성품 우리가 먼저 이해해야 할 것은, 하나님께서는 결코 악을 직접 행하시거나 즐기시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성경은 분명히 "하나님은 빛이시라 그에게는 어둠이 조금도 없으시다"(요일 1:5)라고 말씀합니다. 하나님의 본질적 성품은 선하심과 거룩하심입니다. 그렇다면 이 악은 어디서 왔을까요? 이는 마치 빛이 있어야 그림자가 생기는 것처럼, 하나님께서 피조물들에게 진정한 선택의 자유를 주셨기 때문에 가능해진 현실입니다. 사랑이 강요될 수 없는 것처럼, 진정한 관계를 위해서는 선택의 자유가 필요했던 것이죠. 둘째, 하나님의 더 큰 목적 여기서 주목할 점은, 하나님께서는 악한 행위들을 허용하시면서도, 그것들을 통해 더 큰 선을 이루어 가신다는 사실입니다. 성경의 대표적인 예로 요셉의 이야기를 들 수 있습니다. 요셉의 형들은 악한 의도로 동생을 노예로 팔았지만, 하나님께서는 이 사건을 사용하셔서 수많은 생명을 구원하셨죠. 이것은 마치 숙련된 요리사가 쓴 재료까지도 사용해서 맛있는 요리를 만드는 것과 비슷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실수와 잘못된 선택까지도 사용하셔서 궁극적으로는 선한 목적을 이루어 가시는 것입니다. 셋재, 우리의 책임과 하나님의...

시편,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나오는 찬양, 탄원 그리고 지혜

이미지
시편은 찬양, 탄원, 감사, 회개, 지혜의 시를 담은 성경의 시가서로, 다양한 저자들이 약 1000년에 걸쳐 작성했습니다. 하나님의 위대하심을 찬양하고, 고난 중 도움을 구하며, 삶의 지혜를 가르칩니다. 시편은 모든 상황에서 하나님께 나아갈 수 있음을 보여주며, 신자들의 영적 성장에 도움을 줍니다. 시편,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나오는 찬양, 탄원 그리고 지혜 1. 주요 내용 a. 찬양과 예배 시편은 하나님을 향한 찬양과 예배의 노래로 가득합니다. 시인들은 하나님의 위대하심, 선하심, 자비하심을 노래하며 그분의 창조와 구원의 행위를 기억합니다. 이 시들은 개인과 공동체의 예배를 위한 풍부한 자료를 제공하며, 하나님과의 친밀한 관계를 표현합니다. 시편은 기쁨, 감사, 경외심 등 다양한 감정을 담아 하나님을 높이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b. 탄원과 고백 시편에는 개인과 민족의 고난과 어려움을 토로하는 탄원시가 많습니다. 시인들은 고통, 박해, 질병, 적의 공격 등 다양한 상황에서 하나님께 도움을 호소합니다. 동시에 자신의 죄를 고백하고 용서를 구하는 회개의 시편도 있습니다. 이러한 시들은 인간의 취약함과 하나님의 자비하심을 대조적으로 보여주며, 어려운 상황에서도 하나님을 신뢰하는 믿음을 표현합니다. c. 지혜와 교훈 시편에는 의인의 길과 악인의 길을 대조하며 올바른 삶의 방식을 가르치는 지혜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시들은 하나님의 율법을 묵상하고 순종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의로운 삶을 살아가는 방법에 대한 실제적인 조언을 제공합니다. 또한 인생의 의미, 고난의 목적, 하나님의 섭리 등에 대한 깊은 통찰을 담고 있어 신자들의 영적 성장에 도움을 줍니다. 2. 저자 시편의 저자는 다양합니다. 전통적으로 다윗이 73편의 시편을 썼다고 여겨지며, 이는 시편의 거의 절반을 차지합니다. 그 외에 아삽(12편), 고라 자손(11편), 솔로몬(2편), 모세, 헤만, 에단 등이 저자로 언급됩니다. 일부 시편은 저자가 명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저자들이 각자의 경...

에무나(אֱמוּנָה) : 구약성경에서 말하는 신실함과 진리

이미지
히브리어 에무나(אמונה)는 "신실함"과 "견고함"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단어로, 구약성경에서 약 50회 언급됩니다. 이는 하나님과 그의 백성 간의 관계를 강조하며, 하나님의 완전한 신실성과 그의 약속에 대한 믿음을 나타냅니다. 에무나는 견고함, 확고부동, 신실함을 의미하며, 하나님께서는 그의 백성들에게 신실함을 요구하십니다. 호세아서와 이사야서에서 예언된 메시야 시대의 신실성은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성취되었으며, 이는 하나님의 자비와 진리를 나타냅니다. 에무나(אֱמוּנָה) : 구약성경에서 말하는 신실함과 진리 에무나(אֱמוּנָה)는 히브리어로 "신실함"이나 "확고함"을 의미하는 단어로, 구약성경에서 약 50회 언급됩니다. 이 단어는 "지지하다" 또는 "신실하다"를 의미하는 '아만(אָמַן)'에서 유래했습니다. 에무나는 견고함, 확고부동, 신실함, 충실함, 성실함을 나타내며, 하나님의 속성과 그의 백성들에게 기대되는 태도를 나타냅니다. 구약성경에서의 사용 구약성경에서 에무나는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됩니다. 가장 기본적으로 이 단어는 하나님에게 사용되어 그의 완전한 신실성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신명기 32:4에서는 "그는 신실하시며, 그의 모든 길은 정의롭다"고 묘사됩니다. 이는 하나님이 언제나 신실하고, 그의 행위와 말씀 모두에서 믿을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신명기 32:4, 그는 반석이시니 그가 하신 일이 완전하고 그의 모든 길이 정의롭고 진실하고 거짓이 없으신 하나님이시니 공의로우시고 바르시도다 70인역에서의 사용 70인역본에서는 에무나를 알레데이아(ἀλήθεια, 진실, 신뢰, 정직, 진리)와 피스토스(πιστός, 신뢰, 신실성, 신빙성, 신앙)로 번역했습니다. 이는 KJV 성경에서 'faithfulness' (신실), 'truth' (진리), 'set of...

하나님의 성품에 대한 중요한 두 가지 단어들, 사랑과 정의

이미지
성경에는 하나님의 성품에 대한 여러 성경 구절들이 있습니다. 주의 백성들을 사랑하시는 하나님은 또한 죄인들을 심판하십니다. 하나님에 대한 여러 성구들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두 가지의 성품인 사랑과 정의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하나님의 성품에 대한 중요한 두 가지 단어들, 사랑과 정의 하나님의 품성을 간단하게 두 부분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하나는 “사랑”이고, 다른 하나는 “의(義)”이다.성경에는 사랑을 “헤세드”(חסד)와 “아하브”(אהב)로 표현하고, 의(義)는 “미쉬파트”(משפט)와 “쩨데크”(צדק)로 표현한다. 사랑과 정의 1. 사랑 헤세드(חסד, 은혜, 인애, 인자, 자비, 사랑), 아하브(אהב, 애정, 사랑). 용서와 화목, 사랑의 품성을 나타낸다. 2. 의(정의, 공의) 미쉬파트(משפט, 정의 justice, 심판과 관련 있음), 쩨데크(צדק, 공의 righteousness, 흠 없는 완전, 거룩함, 정결함 등과 관련 있음). 흠 없는 완전한 품성을 나타낸다. 또한 죄인은 심판을 통하여 사망의 형벌을 받아야 함을 나타낸다. 하나님의 성품에 대한 성경구절 1. 의, 정의,공의 하나님의 성품에 관한 말씀 몇 구절만 언급한다. 개역개정판에서 “의, 정의, 공의”라는 말을 원어에 일치하게 일관성 있게 번역하지 않아 혼란스러움은 있지만, 이해하는 데는 크게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것은 개역개정판은 개역한글판보다는 일관성에 있어서 좀 나아졌다는 것이다. “의(쩨데크)와 공의(미스파트)가 주의 보좌의 기초라 인자함(헤세드)과 진실함이 주 앞에 있나이다”(시 89:14) “그는 공의(쩨데크)와 정의(미스파트)를 사랑하심이여 세상에는 여호와의 인자하심(헤세드)이 충만하도다”(시 33:5) “자랑하는 자는 이것으로 자랑할지니 곧 명철하여 나를 아는 것과 나 여호와는 사랑(헤세드)과 정의(미스파트)와 공의(쩨데크)를 땅에 행하는 자인 줄 깨닫는 것이라 나는 이 일을 기뻐하노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렘 9:24) 2. 사랑 그런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