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의 문제와 하나님의 주권 - 조직신학 연구

왜 이 세상에 악이 존재할까요? 전능하신 하나님께서 모든 것을 주관하신다면, 악의 존재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이 글에서는 악의 문제와 하나님의 주권이라는 오래된 질문을 탐구하며, 우리가 일상에서 마주하는 고통과 악의 현실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하나님의 더 큰 목적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악의 문제와 하나님의 주권 - 조직신학 연구



악의 문제와 하나님의 주권



서론


"왜 이런 나쁜 일이 일어나야만 했을까요?" 이는 우리 모두가 한 번쯤 던져보았을 질문입니다. 특히 믿음의 여정 중에 만나는 고통과 악의 현실은 우리를 당황스럽게 만듭니다. 전능하시고 선하신 하나님께서 계신다면, 왜 이 세상에 악이 존재하는 걸까요? 오늘은 이 오래된 질문에 대해, 특별히 하나님의 주권이라는 관점에서 함께 생각해보려 합니다.



본론


첫째, 악의 현실과 하나님의 성품

우리가 먼저 이해해야 할 것은, 하나님께서는 결코 악을 직접 행하시거나 즐기시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성경은 분명히 "하나님은 빛이시라 그에게는 어둠이 조금도 없으시다"(요일 1:5)라고 말씀합니다. 하나님의 본질적 성품은 선하심과 거룩하심입니다.

그렇다면 이 악은 어디서 왔을까요? 이는 마치 빛이 있어야 그림자가 생기는 것처럼, 하나님께서 피조물들에게 진정한 선택의 자유를 주셨기 때문에 가능해진 현실입니다. 사랑이 강요될 수 없는 것처럼, 진정한 관계를 위해서는 선택의 자유가 필요했던 것이죠.


둘째, 하나님의 더 큰 목적

여기서 주목할 점은, 하나님께서는 악한 행위들을 허용하시면서도, 그것들을 통해 더 큰 선을 이루어 가신다는 사실입니다. 성경의 대표적인 예로 요셉의 이야기를 들 수 있습니다. 요셉의 형들은 악한 의도로 동생을 노예로 팔았지만, 하나님께서는 이 사건을 사용하셔서 수많은 생명을 구원하셨죠.

이것은 마치 숙련된 요리사가 쓴 재료까지도 사용해서 맛있는 요리를 만드는 것과 비슷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실수와 잘못된 선택까지도 사용하셔서 궁극적으로는 선한 목적을 이루어 가시는 것입니다.


셋재, 우리의 책임과 하나님의 주권

그렇다고 해서 악을 행하는 것이 정당화되지는 않습니다. 이는 매우 중요한 점인데요, 하나님께서 악한 행위를 선한 목적을 위해 사용하실 수 있다는 사실이, 그 악행을 저지른 사람의 책임을 면제해주지는 않는다는 것입니다.

예수님의 십자가 사건을 생각해보세요. 이는 인류 역사상 가장 악한 행위였지만, 하나님께서는 이를 통해 가장 위대한 구원을 이루셨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은 이들의 책임을 덜어주지는 않았습니다.


넷째, 실제적인 적용

이러한 이해는 우리의 일상생활에 실제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첫째, 우리는 악한 상황을 만났을 때 절망할 필요가 없습니다. 하나님께서는 그 상황보다 크시며, 그것을 통해서도 선한 목적을 이루어 가실 수 있기 때문입니다.
  • 둘째, 우리는 더욱 신중하게 선택하고 행동해야 합니다. 우리의 잘못된 선택이 누군가에게 고통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 셋째, 우리는 용서하는 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악한 상황까지도 선한 목적을 위해 사용하실 수 있다는 사실은, 우리에게 큰 위로와 치유를 줄 수 있습니다.



결론


악의 문제는 여전히 많은 부분이 신비로 남아있습니다. 우리의 유한한 이해로는 모든 것을 완벽히 설명할 수 없죠. 하지만 우리는 이것을 알고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선하시며, 모든 상황을 주관하고 계시고, 궁극적으로는 선한 목적을 이루어 가신다는 것을 말입니다.

이것은 우리에게 큰 희망을 줍니다. 우리가 이해할 수 없는 악과 고통을 만날 때에도, 하나님께서는 여전히 통치하고 계시며, 그분의 선하신 계획은 결코 좌절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역할은 무엇일까요? 선한 것을 선택하고 행하며, 악에 맞서 싸우되, 동시에 모든 상황 속에서 일하시는 하나님을 신뢰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언젠가는 모든 눈물을 씻어주시고, 모든 것을 새롭게 하실 하나님의 약속을 붙잡는 것이죠.

이것이 바로 우리가 이 복잡한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가 아닐까요? 악의 현실을 인정하되 절망하지 않고, 우리의 책임을 다하되 하나님을 신뢰하며, 현재의 고난 너머에 있는 하나님의 더 큰 계획을 바라보는 것. 이것이 우리가 악의 문제 앞에서 가질 수 있는 균형 잡힌 태도일 것입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마가복음 7:11, 고르반(קָרְבָּן, κορβᾶν)의 사전적 의미

여호와는 너에게 복을 주시기를 원하며(하나님의 약속) - 찬양악보와 성경구절 C코드

성막에 놓인 진설병 상(The Table of Showbread)과 그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