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해방인 게시물 표시

예레미야 51장 34절-53절, 다섯 번째와 여섯 번째 움직임

이미지
예레미야 51장 34절-53절의 내용은, 하나님께서 바벨론을 심판하시고 포로로 잡혀 간 이스라엘을 해방시키실 것을 약속하시는 내용입니다. 이 사건은 우주적 사건이자 역사적 사건으로, 모든 창조물들이 기뻐할 것입니다. 하나님의 명령을 따라 백성들은 이제 바벨론을 떠나야만 합니다. 본문에 관한 BST 주석입니다. 예레미야 51장 34절-53절, 다섯 번째와 여섯 번째 움직임 다섯 번째 움직임 (예레미야 51:34-44) 유배자들이 34-35절에서 처음으로 말합니다. 그들은 기원전 587년의 경험을 괴물 같은 *뱀*에 의해 *살*과 *피*가 씹히고 *삼켜진* 것처럼 묘사합니다. 그래서 그들은 하나님께 보복을 요청합니다. 하나님은 정확히 그것을 약속하십니다. 잔인한 반전으로 바빌론 자체가 야생 짐승들처럼 독살되고, 희생 제물처럼 죽임을 당할 것입니다(38-40절). 그러나 그 전에 바빌론은 *삼킨 것을 토해내도록* 강요받을 것입니다(44절). 이는 유배자들의 석방을 생생하게 묘사하는 방식으로, 요나의 '죽음과 부활'을 - 그리고 요나보다 더 위대한 이를 - 암시합니다. 우주적 이미지가 이 그림을 완성합니다. *바다*는 혼돈의 상징으로, 쓰나미처럼 밀려와 바빌론을 삼키고 황폐한 황무지만 남깁니다(42-43절). 악은 그 희생자들을 풀어줄 것이고, 그 다음 자신의 근원에 의해 삼켜질 것입니다. 하나님은 악을 그 자신의 자멸로 부르십니다. 여섯 번째 움직임 (예레미야 51:45-53) 이러한 곳은 하나님의 백성이 머물 곳이 아니므로, 유배자들에게 바빌론에서 도망치라는 부름이 다시 한 번 울려 퍼집니다. 하지만 두려워하지 말라고 합니다. 바빌론의 운명이 그들의 운명이 되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45-46절). 바빌론의 죄의 우주적 규모(*이스라엘의 죽임 당한 자들*뿐만 아니라 *온 땅의 죽임 당한 자들*에 대한 책임; 49절)는 *바빌론이 무너져야 할 때*의 우주적 규모의 기쁨과 일치합니다. *하늘과 땅과 그 안에 있는 모든 것들*의 축하는 주님이 마침내 ...

신명기 21장 8절에 나타난 "속량"의 히브리어와 그 의미, 그리고 성경의 예시들

이미지
속량은 죄로부터의 구원, 노예 해방, 궁핍 구출 등을 의미하는 신학 개념입니다. 히브리어 "פָּדָה"와 "גָּאַל"은 몸값, 속량, 구속, 되찾다, 구원, 해방을 의미합니다. 신명기 21:8에서는 미제 살인 사건에 대해 하나님께서는 속량을 강조하셨습니다. 신명기 21장 8절에 나타난 "속량"의 히브리어와 그 의미, 그리고 성경의 예시들 1. 히브리어 원어적 의미 파다(פָּדָה, padah): 몸값을 치르다, 속량하다, 구속하다 가알(גָּאַל, ga'al): 되찾다, 구원하다, 해방시키다 2. 성경 예시 3구절 1) 출애굽기 6:6 그러므로 이스라엘 자손에게 말하기를 나는 여호와라 내가 애굽 사람의 무거운 짐 밑에서 너희를 빼내며 그들의 노역에서 너희를 건지며 편 팔과 여러 큰 심판들로써 너희를 속량하여 히브리어: "פָּדָה" (padah) 의미: 하나님께서 강력한 능력으로 이스라엘 백성을 애굽의 속박에서 해방시키심을 의미합니다. 2) 레위기 25:48 그가 팔린 후에 그에게는 속량 받을 권리가 있나니 그의 형제 중 하나가 그를 속량하거나 히브리어: "גָּאַל" (ga'al) 의미: 가난해져 땅을 팔게 된 사람의 형제가 몸값을 치르고 땅을 되찾는 것을 의미합니다. 3) 이사야 43:1 야곱아 너를 창조하신 여호와께서 지금 말씀하시느니라 이스라엘아 너를 지으신 이가 말씀하시느니라 너는 두려워하지 말라 내가 너를 구속하였고 내가 너를 지명하여 불렀나니 너는 내 것이라 히브리어: "גָּאַל" (ga'al) 의미: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을 죄와 죽음의 속박에서 구원하심을 의미합니다. 3. 속량의 신학적 해석과 의미 1) 정의 속량은 죄로부터의 구원, 노예로부터의 해방, 궁핍으로부터의 구출 등을 의미하는 신학적 개념입니다. 히브리어 "פָּדָה" (padah)와 "גָּאַל" (...

[사순절 큐티] 사순절 제17일 큐티, 내 영혼에 봄날 되어서

이미지
사순절 제17일의 큐티 본문은, 포로된 이스라엘에게 새 봄과 같은 회복과 해방의 소식을 전해 주시는 하나님에 대한 말씀입니다. 아울러 죄의 포로로 살아가던 모든 인간들에게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로 새 봄을 전해 주신 은혜에 대해 큐티하고 복음의 전달자가 되기로 결단합니다. 내 영혼에 봄날 되어서 함께 할 찬송 새 찬송가 428장, 내 영혼에 햇빛 비치니 함께 할 성경 말씀 이사야 56:6-8, 또 여호와와 연합하여 그를 섬기며 여호와의 이름을 사랑하며 그의 종이 되며 안식일을 지켜 더럽히지 아니하며 나의 언약을 굳게 지키는 이방인마다 내가 곧 그들을 나의 성산으로 인도하여 기도하는 내 집에서 그들을 기쁘게 할 것이며 그들의 번제와 희생을 나의 제단에서 기꺼이 받게 되리니 이는 내 집은 만민이 기도하는 집이라 일컬음이 될 것임이라 이스라엘의 쫓겨난 자를 모으시는 주 여호와가 말하노니 내가 이미 모은 백성 외에 또 모아 그에게 속하게 하리라 하셨느니라, 아멘! 함께 할 사순절 큐티 1. 묵상을 위한 질문 새봄이 왔음을 느끼고 있나요? 2. 함께 하는 깊은 묵상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먼 옛날 오랑캐 땅에 잡혀간 한 여인의 마음을 헤아려 본 시구로, 봄이 왔으나 봄을 느낄 수 없다는 말입니다. 남의 땅에 머물고 있는 이에게 꽃이 피고 새가 우는 봄이, 봄 같을 리 없었을 것입니다. 남의 땅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가 있던 유다 백성들이 느꼈을 마음도 이와 같았을 것입니다. 백성들은 그렇게 겨울을 살고 있지만, 하나님께서는 그런 백성들에게 봄을 선언하시며 백성들을 불러모으십니다. 나라를 빼앗겼다 해서 거기가 끝이 아니라는 선언을 하신 것입니다. 다시 시작해 보자고, 일어나라고, 돌아가자고 말입니다. 봄이 되면 겨우내 볼 수 없었던 것들을 보게 됩니다. 눈 녹아 물이 흐르고 새싹이 돋는 것을 보게 되기에 봄에는 별명이 하나 있습니다. '새 봄'입니다. 새 여름도, 새 가을도, 새 겨울도 없으니 새 봄은 봄만의 특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