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민수기7장내용인 게시물 표시

민수기 7장 45절-65절, 예물을 드리는 자의 태도 - 민수기 강해 설교

이미지
민수기 7장 45절부터 65절까지의 말씀은, 이스라엘의 열 두 지파 지도자들이 하나님께서 함께 하시는 은혜를 베풀어 주심에 감사하여 정해진 예물을 드리는 장면입니다. 본문을 묵상하면서 예물을 드리는 자는 어떤 태도로 하나님께 나아가야 하는가를 강해 설교로 정리하였습니다. 민수기 7장 45절-65절, 예물을 드리는 자의 태도 본문은 하나님께서 명하신 대로 장막 세우는 것을 마친 후에 이스라엘이 각 지파별로 봉헌의 예물을 드림에 관해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 장막은 광야에 있는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있어서 신앙과 생활의 중심이었으므로 그들의 에물은 규례에 따른 것임은 물론 정성과 사랑이 담겨 있었습니다. 우리가 하나님께 무슨 예물을 드리든지 바로 이와 같아야 합니다. 형식적으로 예물을 드리는 사람들은 그가 누구이든지 간에 그의 신앙이나 생활의 중심이 하나님이 아닌 것을 증거해 줍니다. 우리가 하나님께 드리는 모든 예물 속에는 우리의 신앙과 그분에 대한 마음이 담겨 있습니다. 본문을 통하여 우리가 깨달을 수 있는 교훈은 무엇일까요? 모든 지파가 동일하게 예물을 드림  각 지파 간에는 인구라든가 다소의 차이가 있었을 것임에도 그들이 드린 예물의 종류나 분량은 동일했습니다. 전혀 차이가 없었습니다. 이는 하나님 앞에서 인간의 죄가 동일함을 보여주는 것임과 동시에, 하나님의 은혜를 비롯하여 긍휼, 자비, 축복 등도 동일함을 보여줍니다. 착하고 훌륭하게 사는 사람도 하나님 앞에서는 죄인으로 드러날 수 밖에 없고 지극히 작은 지체도 몸 안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소중한 것임을 명심합시다. 하나님 앞에서는 특별히 우월한 사람도 특별히 열등한 사람도 없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같은 마음과 정성으로 하나님께 예물을 드려야 합니다. 하나님께 예물 드리는 일에 빠지지 맙시다. 소제물과 향을 드림(55-56절)  이스라엘의 제사 제도에 있어서 소제물과 향은 대부분 따라다녔습니다. 우리의 예배나 신앙 생활에 있어서 소외시켜서는 안될 중요한 것들이 소외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그...

민수기 7장 42절-53절, 하나님께서 받으실 만한 예물 - 민수기 강해 설교

이미지
민수기 7장 42절부터 53절까지의 말씀은, 성막을 성별한 이후에 이스라엘의 열 두 지파 지도자들이 하나님께 예물을 드리는 장면의 일부분입니다. 본문을 묵상하면서 하나님께서 받으실만한 예물은 어떤 것일지를 생각하고 강해 설교 본문으로 요약하여 나눕니다. 민수기 7장 42절-53절, 하나님께서 받으실 만한 예물 가인과 아벨의 예물이 오늘도 우리에게 주는 변함없는 교훈은 하나님께서 받으시는 예물이 있고, 또 열납하지 않으시는 예물도 있다는 사실입니다. 그분은 어떤 사람의 예물에 대해서는 축복하시지만, 어떤 사람들의 예물에 대해서는 열납하기를 거부하십니다. 우리의 모든 봉사는 마땅히 그분의 받으심직한 것들이 되도록 힘써야 합니다. 바울이 빌립보 교회의 봉사를 하나님 앞에서 받으실만한 향기로운 제물이라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던 것처럼, 받으심직한 예물을 드리는 사람은 칭찬과 함께 상급을 받기 마련입니다. 오늘 본문을 통하여, 하나님께서 받으시는 예물은 어떤 것인지를 깨닫게 되길 바랍니다. 한 지파도 빠짐없이 예물을 드림  이스라엘의 모든 지파는 하나도 예외없이 하나님 앞에 봉헌 예물을 드렸습니다. 우리 중에 구원 받은 그리스도인이면서 주를 위한 봉사에서 빠지려고 하는 사람들은 회개해야 합니다. 한 사람도 빠져서는 안됩니다. 몸의 지체 중 하나가 고통을 당하면 몸 전체가 고통을 당하는 법입니다. 하나님은 모든 지체들에게 역할을 각기 분담하셨으므로 아무도 빠지는 일이 있어서는 안되는 것입니다. 더도 덜도 없이 똑같이 드림  많이 가졌다고 더 드리지도 않았고 적게 가졌다고 덜 드리지도 않은 것이 이스라엘 봉헌 예물의 특징이었습니다. 더 드리면 교만하기 쉽고 덜 드리면 열등감에 빠지기가 쉽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스라엘의 지휘관들은 하나님께서 명하신 대로 공평하게 드렸습니다. 또 하나, 우리가 기억할 내용은,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바와 같이 모든 봉사는 은밀하게 함이 아름답습니다. 오른 손이 하는 일을 왼 손이 모르게 할 때, 은밀한 중에 보시는 하나님께서 갚아...

민수기 7장 30절-41절, 아름다운 봉헌 예물 - 민수기 강해 설교

이미지
민수기 7장 30절부터 41절의 말씀을 통하여 우리는 하나님께 봉헌 예물을 드리는 성도의 자세가 어떠해야 하는지를 알 수가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정하신 대로 하나님께 예물을 드리고 우리의 마음과 정성을 다하여 하나님께 드려야 한다는 사실을 강해 설교로 정리하였습니다. 민수기 7장 30절-41절, 아름다운 봉헌 예물 예물이라고 모두가 같은 것이 아닙니다. 아름다운 예물이 있는가 하면 그렇지가 못한 것들도 있고, 가치있고 유익한 예물이 있는가 하면 무가치하고 무익한 예물도 있습니다. 하나님께 봉헌하는 예물은 아름답고 가치가 있으며 유익을 줍니다. 그러나 사람에게 주는 뇌물은 아름답지가 못할 뿐 아니라 무가치하고 사회에 병폐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본문은 르우벤 자손과 시므온 자손의 봉헌 예물에 관해 언급하고 있습니다. 본문의 교훈과 의미는 무엇일까요? 정해진 예물을 드림  각 지파의 지휘관들은 하나님 앞에 예물을 드림에 있어서 자기들의 원하는 종류라든가 자기들의 원하는 분량에 따라서 드린 것이 아니라, 정해진 분량에 따라서 드렸습니다. 민수기 7:31, 그의 헌물도 성소의 세겔로 백삼십 세겔 무게의 은 쟁반 하나와 칠십 세겔 무게의 은 바리 하나라 이 두 그릇에는 소제물로 기름 섞은 고운 가루를 채웠고 하나님의 일을 하는 사람들은 그분이 명하신 곳에서 그분이 맡겨주신 분량에 따라 충성하도록 해야 합니다. 분량 밖의 자랑은 원하지도 기뻐하지도 아니하신다(롬 12:3).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며 예물과 충성을 하나님께 드리고 있습니까? 우리가 하나님의 은혜로 서 있으며,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하여 예물을 드리는 것임을 기억합시다. 우리 예물을 받으시는 주체는 하나님이십니다. 정해진 순서에 따라서 드림 그들은 예물을 드리는 순서도 임의로 자기들이 편리한 날짜를 택한 것이 아니라 정해진 순서에 따랐습니다.  민수기 7:36, 다섯째 날에는 시므온 자손의 지휘관 수리삿대의 아들 슬루미엘이 헌물을 드렸으니 이스라엘의 열 두 지파의 지휘관들은,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