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속죄제인 게시물 표시

구약 성경에서 "이스라엘 백성들이 행한 서원"을 취소하는 방법

이미지
지난 토요일에 사사기 성경통독대회를 교회에서 진행하였습니다. 사사기 말씀 중에는 사사 "입다"가 행한 서원과 그 결과로 무남독녀를 번제로 드리는 장면이 나옵니다. 이 부분에서 의문이 드는 것이 "서원을 취소할 수 있는가"였습니다. 그래서 구약성경은 서원의 취소에 대해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 확인해 보았습니다. 구약 성경에서 "이스라엘 백성들이 행한 서원"을 취소하는 방법 구약성경에서 서원은 하나님께 자발적으로 행하는 중요한 신앙적 행위였습니다. 본 연구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께 맹세한 서원과 그 취소에 관한 성경적인 규정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서원의 의미와 중요성 서원은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자발적 약속으로, 신명기 23장에서는 "네 하나님 여호와께 서원하거든 갚기를 더디하지 말라... 네가 서원하지 아니하였으면 무죄하리라"(신 23:21-22)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 구절에 따르면, 서원이 의무는 아니지만 일단 행해지면 반드시 지켜야 할 거룩한 약속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서원 취소에 관한 성경적 규정들 1. 레위기의 서원 규정 레위기 27장은 서원한 물건을 '무르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다룹니다. 서원자가 사람, 가축, 집, 밭 등을 하나님께 드렸다가 다시 찾고자 할 때는 제사장이 정한 가격에 오분의 일(1/5)을 더하여 내야 했습니다. 이러한 사실은 서원을 완전히 취소하는 것이 아니라, 그 가치를 금액으로 환산하여 대신 지불하는 방식임을 알 수 있습니다.  레위기 27:13, 만일 그가 그것을 무르려면 네가 정한 값에 그 오분의 일을 더할지니라 그리고 "오분의 일"을 더하도록 하신 것은, 서원을 경솔하게 행하지 않도록 방지하고, 하나님과의 약속인 서원을 행함에 있어서 신중할 것을 가르치기 위한 장치였습니다. 2. 민수기의 서원 규정 민수기 30장은 특히 여성의 서원에 관한 규정을 담고 있습니다. 여성의 서원은 그 신분에 따라 취소 가능성이...

성막(Tabernacle)에서 행해졌던 희생 제사들 4가지와 그 의미들

이미지
'성막'(혹은 회막, Tabernacles)은 하나님과 이스라엘이 만나는 장소였습니다. 그래서 하나님께서는 성막에서 모세와 만나셔서 말씀하셨고, 제사장들은 성막에서 하나님께 희생 제사를 드렸습니다. 성막에서 드려졌던 희생 제사들 4가지들과 그 의미들을 정리하였습니다. 성막(Tabernacle)에서 행해졌던 희생 제사들 4가지와 그 의미들 속죄제(Sin Offering)와 속건제(Guilt Offering) 1. 구약 성경에서의 의미 관련 성경 구절은 레위기 4장부터 6장까지의 말씀과 민수기 15장 1절부터 12절까지의 말씀입니다. 속건제(אָשָׁם, 아샴)와 속죄제(קָרְבַּן חַטָּאת, 코르반 ㅋ하타트)는 속죄 제물에 초점을 맞춘 제사입니다. 속죄 제물은 하나님께 대한 이스라엘의 죄를 속죄하는 제물이었습니다. 그리고 속건 제물은 다른 사람에게 지은 죄를 속죄하는 제물로, 이자와 함께 손해 배상을 하는 제물이었습니다. 이 제물들은 사람의 지위와 수입에 따라 다양한 동물들이 드려졌습니다. 제사장들과 백성의 지도자들은 다른 사람들의 본보기로 더 큰 희생 제물을 드렸습니다. 반면에, 가난한 사람들은 자신들이 감당할 수 있을 만큼의 제물을 드렸습니다.  이 제사를 통해 제물의 피를 제산에 뿌렸으며 동물의 일부분을 불태웠고 때로는 그 위에 포도주를 전제로 부었습니다. 제물의 다른 부분은 제사장들이 불에 구웠습니다. 제사장들은 속죄제와 속건제물의 일부분을 양식으로 공급 받았습니다. 2. 오늘날 우리에게 주어진 의미 가장 우선적으로, 인간의 죄를 대속하시기 위하여 예수 그리스도께서 자기 자신을 속죄 제물로 드리셨음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이웃에게 끼친 피해를 보상하는 의미와 가난한 자들을 돌보는 것을 나타냅니다. 또한 교회의 사역자들의 생활을 위한 헌금과 헌물을 의미합니다. 번제(Burnt Offering) 1. 구약 성경에서의 의미 관련 성경 구절은 레위기 1장에 나타납니다. 번제(קָרְבַּן עוֹלָה, 코르반 올라)는 하나님을 향한 완전한...

[성경난제] 하나님께서 출산한 산모가 부정하다고 말씀하신 이유 두 가지

이미지
레위기 12장은 하나님께서 산모에 대한 정결 규례를 말씀해 주신 본문입니다. 본문에서 하나님은 산모가 "부정하다"라는 섭섭한 말씀을 하셨는데, 그같이 말씀하신 두 가지 이유를 정리하였습니다. 이유를 생각한다면, 본문은 하나님의 깊은 배려가 담겨 있는 말씀입니다. 하나님께서 출산한 산모가 부정하다고 말씀하신 이유 두 가지 관련 성경 구절 이스라엘 자손에게 말하여 이르라 여인이 임신하여 남자를 낳으면 그는 이레 동안 부정하리니 곧 월경할 때와 같이 부정할 것이며(레위기 12장 2절, 개역개정 성경) 출산 여성에 대한 정결 규례 하나님께서는 왜 출산한 여성이 부정하다고 말씀하시며, 40일 혹은 80일간 일종의 "자가격리"를 하도록 정결 규례을 정하셨을까요? 본문을 보면, 어쩐지 요즘의 "산후조리원"의 개념이 떠오릅니다. 산후조리원은 출산한 산모가 건강을 회복하고 각종 질병으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곳입니다. 그렇다면, 레위기 12장에서 산모가 부정하다고 말씀하신 내용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1. 출산한 여성이 부정하다구요? 레위기 12장에 기록된  "출산 후 여성이 부정하다"는 말씀은 죄나 죄책감과는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이러한 말이 쓰인 이유는, 단순히 "정결 규례"의 한 카테고리일 뿐입니다. '부정하다'(히브리어로는 טמא(타마))는 말은 "세균"과 관련이 있습니다. 요즘같이 코로나 바이러스가 극심한 때에는, 코로나 확진자를 가까이하는 일이 많게 되면 코로나 바이러스에 확진될 확률이 매우 높아지는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바이러스나 세균은 멀리 해야만 감염을 막을 수가 있습니다. 요즘의 "사회적 거리두기"의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출산이 문제가 아니라, 출산 후에 생겨날 세균 감염과 그로 인한 생명의 위협 때문에 하나님께서는 "정결 규례"를 정해 주셨습니다. 정결 규례를 통한 강제적인 사회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