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심리학 Psychology인 게시물 표시

심리학 개론 - 9. 학습 (1) - 배워야 살아 남는다

이미지
심리학 개론 - 9. 학습 (1) - 배워야 살아 남는다. "학습"에 대한 부분의 부제는 "배워야 살아 남는다"라고 정해 보았습니다. 왜냐하면, 학습을 해야 여러 부정적인 자극을 피하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 "학습"에 대해 학습해 보겠습니다. 1. 학습의 원리 1) 학습의 정의 - 학습이란, 경험을 통하여 얻어지는 행동과 지식에서의 비교적 영속적인 변화를 말합니다. 조금 어렵게 표현되어 있지만, 학습을 통하여 우리의 지식과 행동을 긍정적으로 변화 시켜 나가는 것을 말합니다. - 학습을 통하여 지식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 학습의 과정을 통하여, 훈련과 경험을 통한 행동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 행동잠재력 상의 변화: 학습(learning)과 수행(performance)을 구분하기 위해 2) 학습의 요소 ① 경험 - 훈련이나 경험을 통해 새로운 행동을 학습하는 것은 사람과 동물이 비슷합니다. 동물도 어린 시절부터 부모의 모습을 따라하며 경험을 통해 생존법을 학습하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사람은 좀 더 복잡하고 정교한 행동 학습을 할 수 있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② 변화 - 학습은 행동의 변화가 나타나야 하며 행동 변화가 곧 학습 활동의 목적이 됩니다. 그리고 행동의 변화는 긍정적 변화를 목표로 합니다. - 학습의 결과로 발생한 변화는 관찰 가능한 행동으로 나타나야만 합니다. 그러므로, 가치관이나 태도, 신념 같이 직접 관찰할 수 없는 내적인 행동도 학습 활동을 통해 변화할 수 있습니다. 변화된 사고, 신념, 가치관은 이를 반영하는 행동을 통해 변화했음을 알 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학습의 과정을 통하여 '이타심'을 배울 수 있고, '노인에게 자리를 양보'하는 행동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 학습은 ...

심리학 개론 - 8. 감각과 지각 (2) -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이미지
1. 지각과정 1) 주의와 그 기능 - 주의(attention: 주의집중) : 주어진 순간에 감각기관을 자극하는 수많은 자극 중 일부에만 선별적으로 의식을 집중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소음이 있는 가운데 공부할 때, 우리는 공부에만 주의집중을 합니다. - 전주의적 처리(pre-attentive processing) : 주의집중 전에 이루어지는 정보처리의 과정을 말합니다. - 주의집중의 기능 : 전주의적 처리가 됨에도 불구하고 주의집중을 통해 불필요한 자극은 미리 걸러내고 필요한 자극에만 몰두하여 자극 속에 있는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합니다. 우리 인간의 뇌의 한계로 인하여, 선택과 집중의 과정을 통한 효율의 극대화를 추구하기 때문입니다. ● 언제 주의집중이 이루어지는가 - 관찰자의 의도 : 관찰자의 생리적 상태에 의해 주의 집중이 이루어집니다. 예) 며칠 배고픈 상태에서의 음식 지각하기 : 아마도 멀리서도 음식 냄새를 맡을 수 있을 것입니다. : 관찰자의 경험(지식) 예) 지갑을 잃어버린 경험이 있는 사람은 지갑을 챙기는 데 다른 일보다 더 주의집중을 합니다. - 환경속성 : 조용한 환경에서 누군가 소리를 지르면 자연스럽게 소리가 나는 쪽으로 주의를 기울이게 됩니다. : 칵테일 파티 효과 : 시 끄러운 파티와 같은 장소에서 자신의 이름이 들려오면 그 말소리가 들리며 주의를 기울일 수 있게 됩니다. 2) 모양 지각 ● 다음 그림 모양의 A B C 가운데 A B가 무엇을 나타내는지 이해되는가? 그렇다면 C는 무엇을 나타내는지 이해가 됩니까? 위의 그림들의 과정을 보면, 사람의 얼굴을 맞춰 가는 과정입니다. 그런데 (C)를 보고 나서는, (B)를 보아도 얼굴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 모양지각을 하기 위한 조건 ① 우리의 관심을 끄는 대상의 형...

심리학 개론 - 7. 감각과 지각 (1)

이미지
심리학 개론 - 7. 감각과 지각 (1) 1. 감각 및 지각의 정의 및 측정 1) 감각 및 지각의 정의 ▶ 아래 두 사진은 같은 시간에 찍은 사진일까요? (1) 감각과 지각   - 감각(sensation): 우리가 가진 감각기관인 눈이나 귀, 코나 입, 손 등을 통해 우리가 살아가는 주변 환경의 물리적 에너지를 실제로 탐지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 지각 (perception): 감각기관을 통해 받아들인 외부의 정보를 선택, 정리, 해석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합니다. 때로는 선택적인 지각으로 인하여 감각과는 별개의 결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감각과 지각의 측정 (1) 지각할 수 있는 빛과 소리의 영역   - 가시범위 : 빛의 전체 영역에 비해 인간의 가시범위, 즉 눈으로 볼 수 있는 거리는 약 390nm에서 760nm로 매우 한정적입니다.   - 가청범위: 전체의 넓은 음파의 영역에 비해서 인간의 귀로 실제 들을 수 있는 가청범위는 20Hz에서 20000Hz로 지극히 제한적입니다. (2) 정신물리학   - 정신물리학 : 자극의 물리적인 특성과 그것을 동반하는 경험들 사이에 나타나는 해석과 반응에 대한 학문입니다. 단순한 물리적 내용과 함께 인간의 정신적 작용에 대한 학문입니다.   - 인간의 지각은 반드시 감각을 통하여 받아 들이는 물리적 신호를 그대로 반영하는 것은 결코 아닙니다. 재해석이나 선택적 반응의 과정이 반드시 나타납니다. (3) 베버의 법칙과 최소식별차이   - 베버의 법칙 : 자극 변화를 탐지하기 위한 자극 강도 변화의 최소값은 그 자극의 원래 강도와 비례한다는 법칙입니다.   - 100g인 추에 2g을 더 했을 때 무게의 차이를 감지할 수 있다면, 200g인 추에는 2g이 아니라 4g을 더해야 감지할 수 있다는 법칙입니다.   - 최소식별차이 : 자극 강도의 탐지는 물리적 자극 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