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요한계시록해설인 게시물 표시

요한계시록 주석 정리, 요한계시록의 해석 방법과 개요

이미지
  요한계시록에는 많은 환상과 이미지들이 등장합니다. 그래서 요한계시록을 해석하는 일은 매우 복잡합니다. 그리고 조심해서 해석하지 않으면, 편중된 해석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요한계시록을 해석하기 위해서 일련의 기준과 법칙을 세우고 적용해야만 합니다. 요한계시록 서론 요한계시록 해석하기 요한계시록을 해석하기 위하여 흔히 사용하는 다섯 가지의 중요한 방법들이 있습니다. 1. 예지적인 관점 요한계시록에 담긴 계시의 내용들은 1세기의 그리스도인들을 향한 메시지로서, 로마 제국의 핍박으로부터 그들이 어떻게 구원을 받게 될 것인지에 대한 희망의 메시지를 통하여 그리스도인들을 격려하고 있습니다. 2. 역사학적인 관점 요한계시록은 1세기부터 그리스도께서 재림하시는 미래에 이르기까지 교회의 모든 역사에 대한 예언적인 내용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3. 미래주의적인 관점 요한계시록은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 직전에 끝이 날 이 땅의 역사의 마지막 순간에 무슨 일들이 벌어지게 될 것인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4. 이상주의적인 관점 요한계시록은 하나님과 악한 세력 간의 반복되는 전쟁에 대한 상징적인 묘사를 담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 책은 고통과 불의에 가득 찬 세상에서, 믿음으로 인내하는 그리스도인들을 격려하고 위로하기 위한 영원한 영적 진리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5. 절충적인 관점 요한계시록의 절충적인 관점은, 원래 수신자들에게 주시는 메시지를 진지하게 받아들이면서 동시에 미래의 성취를 기다리는 내용도 담고 있는 성경으로 인정을 합니다. 또한 전 세대에 걸친 그리스도인들에게 관련한 영적 메시지를 제시하는 성경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해설은 절충적이고 다각적인 접근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요한계시록을 읽는 해석원리 요한계시록을 정확하게 읽기 위해서는 몇 가지 중요한 해석원리가 있습니다.  1. 일곱 교회에 전하는 메시지 가장 먼저, 일곱 교회의 본래 맥락을 알고 원래의 수신자들에게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진지하게 받아 들여야만 합니다. 우리는 가끔씩 요한계시록의...

요한계시록 주석 정리, 요한계시록의 저작 시기에 대한 논쟁

이미지
  요한계시록은 마지막 때에 대한 말씀인 동시에, 실제적으로는 로마의 통치 시대에 요한이 기록한 성경입니다. 저작 시기에 대해 크게 네로 황제의 통치기인지 도미티아누스 황제의 통치기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습니다. 그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요한계시록 서론 요한계시록의 저작 시기 1. 주후 1세기 말 혹은 주후 69년 오늘날 대부분의 학자들은, 요한계시록의 저작 시기를 도미티아누스 황제의 통치기간(주후 95-96년)인 1세기 말 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일부의 학자들은 주후 68년 네로 황제가 죽은 직후와 70년 예루살렘 함락의 직전인 주후 69년 이라는 날짜에 주목합니다.  주후 69년을 선호하는 일부의 학자들은 네로 통치 시대의 극심한 박해가 요한계시록에 기술된 상황과 더 부합된다고 주장합니다. 게다가 그들은 주후 69년이라는 날짜가 특정한 구절들을 더 잘 읽을 수 있게 도와 준다고 주장합니다. 예를 들어, 11장 1절-2절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방인들이 성전의 뜰을 짓밟은 사건(70년에 예루살렘 성전이 파괴되기 전), 13장 18절의 짐승의 숫자(666이 네로를 암호로 지칭할 수가 있다는 점), 17장 10절-11절의 짐승의 머리가 일곱 개 등이 그것입니다. 충분히 가능성이 있는 주장이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로 주후 1세기 말이라는 날짜가 가능성이 더 높다고 여겨집니다. 2. 외부적인 증거 외부적인 증거는 늦은 날짜를 더 지지합니다. 요한의 제자였던 폴리캅의 제자인 이레네오(2세기 후반)는 요한계시록에 대해 '그것은 도미티아누스의 통치 말기에 처음 우리 세대에게 주어졌다'라고 기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초기 교회의 교부들은 이같은 전통을 따릅니다. 또한 11:1-2; 13:18; 17:10-11과 같은 특정한 본문은 도미티아누스 치세의 상황으로 보는 것이 유익합니다. 추가적으로, 일곱 교회들의 상황은 모두 성장기에 있으며, 니골라 당과 같은 거짓 교사들이 등장했으며, 일부의 성도들이 영적으로 부패한 모습이 나타납니다(에베소, 사...

요한계시록 주석 정리, 요한계시록의 중심 주제와 저자에 대한 설명

이미지
주님의 재림을 기다리는 대림절 기간에, 주님의 재림과 함께 완성될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성경이자 최후의 승리자는 하나님이시라는 주제를 담고 있는 요한계시록에 서론적인 부분 중에 중심 주제와 저자에 대한 내용을 요약합니다. 요한계시록 서론 요한계시록에 대한 소개 1. 요한계시록의 중심 주제 성경의 마지막 책은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1:1)로 알려져 있습니다. 요한계시록은 하나님의 위대한 이야기의 결말을 여러 색깔의 언어와 강력한 이미지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 신비로운 부분이 있는 성경의 세부 사항들에 대해서는 자주 논쟁의 주제가 되지만, 요한계시록이 말하고자 하는 중요한 메시지는 분명하게 나타납니다. 그 메시지는 ' 하나님께서 승리하셨다! '입니다. 요한계시록은 우주의 통치자이신 하나님께서 어떻게 악을 심판하시고 성도들을 구원하시며 영원히 자기 백성들과 동행하시는가에 대해 들려 줍니다. 2. 요한계시록 이해를 위한 선행 요소들 요한계시록의 중요 메시지를 이해하고 적용하기 위해서는 역사적이고 문학적인 맥락에 대해 이해하고 있어야만 합니다. 그래서 요한계시록의 저자와 저술 시기, 당시의 상황과 저술의 목적, 문학 장르, 내용의 해석, 구조 등과 같은 배경에 대해 차례 차례 먼저 살펴보고자 합니다. 요한계시록은 예수님께서 재림하실 때까지 성도들이 이 타락한 세상에서 신실하게 살아가는데 필요한 소망을 제시합니다.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은 이 놀라운 성경을 통하여 성령께서 교회들에게 하시는 말씀을 들어야만 합니다. 요한계시록의 저자 1. 사도 요한이 저자이다 요한계시록의 저자는 단순히 예언의 성취를 나타내는 예수 그리스도의 증인으로서 복음을 전했다는 이유로 밧모섬으로 유배되는 고난을 당했습니다. 그는 유배 기간 동안에 아시아 교회들에 대한 주의 말씀을 받아 기록한 하나님의 종인 요한임을 알 수 있습니다(1:1, 4, 9-10; 22:8-9). 2세기 초의 순교자인 유스티노(Justin Martyr)도 요한계시록의 저자는 사도 요한이라고 밝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