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수감사절의 기원과 확정 그리고 그 본질에 대하여

한국교회는 해마다 11월 셋째 주일이 되면 추수감사절을 지킵니다. 요즘은 성탄절과 너무 가깝다는 이유로 11월 첫째 주일을 추수감사절로 지키는 교회들도 있는데, 추수감사절의 의미에서 벗어난 모습이라 여겨집니다. 추수감사절의 기원과 확정, 본질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추수감사절의 기원과 확정 그리고 그 본질에 대하여 추수감사절의 기원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들을 애굽에서 구원하시면서, 가나안 땅에 들어가거든 절기를 지키라고 명령하셨습니다. 그래서 유대인들에게는 하나님께서 명령하신 3대 절기가 있는데, 유월절(Passover), 맥추절(Feast of Harvest) 그리고 장막절(feast of Tabernacle)이 바로 그 절기들입니다. 1. 3대 절기의 개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을 애굽에서 구원해 주신 절기를 유월절이며, 보리를 거두는 시기에 수확을 거두게 하신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하는 절기를 맥추절이라 합니다. 맥추절은 한 해의 첫 수확을 거두는 절기이기 때문에 초실절이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또, 맥추절은 유월절 후 50일이 지난 날이기에 오순절 혹은 칠칠절로 부르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초막절은 광야 40년 동안 하나님께서 인도해 주셨음을 감사하는 절기로, 장막절이라 부르기도 하며 한 해의 추수를 마무리는 하는 때와 맞닿아 있기 때문에 수장절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2. 3대 절기의 핵심 주제, 감사 이스라엘의 3대 절기인 유월절이나 맥추절, 초막절 등은 모두 구원과 감사의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맥추절과 장막절 혹은 수장절은 추수와 관련이 있지만, 추수에 대한 감사와 함께 하나님의 구원에 대한 감사가 맥추절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또한 수장절 역시 광야 40년 동안 지키시고 돌보신 하나님께 감사하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유월절, 맥추절 그리고 초막절은 모두 감사가 그 핵심 주제입니다. 3. 추수감사절 메이플라워 호를 타고 신앙의 자유를 찾아 미국 대륙으로 건너간 청교도들이 미국 대륙에서 처음 추수하고 하나님께 감사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