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레미야 선지자는 일명 "눈물의 선지자"로 불려집니다. 그의 예언과 행적에 나타난 깊은 슬픔과 멜랑콜리아를 통해 본 인간의 보편적 감정에 대한 연구 자료를 소개합니다. 예언자 예레미야와 하나님의 슬픔을 탐구하며 슬픔의 형이상학적 의미와 창조적 힘을 고찰합니다.
예레미야의 슬픔과 멜랑콜리아: 구약성서에 나타난 인간의 보편적 감정
구약성서의 예언자 예레미야는 '눈물의 예언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삶과 예언은 슬픔과 우울, 그리고 멜랑콜리아로 가득 차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감정들은 단순히 부정적인 것만은 아닙니다. 오히려 예레미야의 슬픔을 통해 우리는 인간의 보편적인 감정과 그 깊이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하나님의 슬픔까지도 엿볼 수 있죠. 이 글에서는 예레미야서를 중심으로 슬픔의 형이상학적 의미와 그것이 갖는 창조적 힘에 대해 탐구해보고자 합니다.
1. 슬픔의 형이상학: 예레미야와 멜랑콜리아
슬픔은 단순한 심리적 현상이 아닙니다. 그것은 개인적인 정서를 넘어서는 형이상학적 차원을 지닙니다. 예레미야의 슬픔은 자아가 추구하는 질서와 세상의 흐름이 충돌할 때 발생합니다. 이상과 현실의 괴리, 서로 다른 두 질서의 충돌에서 슬픔이 생겨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예레미야는 자신의 내면 심리를 가장 분명하게 표현한 구약의 예언자입니다. 그의 '고백'이라 불리는 부분들(렘 11:18-12:6, 15:10-21, 17:14-18, 18:18-23, 20:7-18)에서 우리는 그의 고독과 괴로운 심리 상태를 생생하게 볼 수 있습니다.
예레미야는 하나님께 소명을 받아 말씀을 선포하지만, 동시에 하나님께 속았다고 느낍니다. 그는 사람들에게 조롱거리가 되고, 박해를 받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는 깊은 슬픔에 빠집니다. 심지어 자신의 생일을 저주하기까지 합니다.
이러한 예레미야의 모습은 전형적인 멜랑콜리커의 모습입니다. 멜랑콜리커란 세상의 질서에 맞서 싸우는 비극의 영웅과 같은 존재입니다. 예레미야는 기존의 질서를 해체하고 새로운 질서를 창출해내려 합니다. 이는 오늘날의 해체주의자들과도 맥을 같이 합니다.
2. 하나님의 슬픔: 언약의 파괴
예레미야서의 독특한 점은 하나님의 슬픔도 함께 드러난다는 것입니다. 하나님도 슬퍼하고 탄식하신다는 것이죠. 이는 단순히 신의 불완전성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하나님이 인간의 고통에 동참하심을 보여줍니다.
하나님의 슬픔은 그가 세상을 창조하고 인간과 언약을 맺으셨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언약을 맺음으로써 하나님은 자신의 자유를 제한하고 스스로를 언약에 얽매이게 하셨습니다. 이로 인해 하나님과 세상 사이에 갈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생깁니다.
하나님이 슬퍼하시는 이유는 그의 백성이 그의 뜻을 거역하고 불순종하기 때문입니다. 그로 인해 자신이 지은 백성을 직접 심판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되는 것이죠. 이는 일종의 자기부인이자 자기모순입니다.
3. 렘브란트와 뒤러: 예술로 본 멜랑콜리아
예레미야의 슬픔과 멜랑콜리아는 예술 작품을 통해서도 잘 표현되었습니다. 특히 렘브란트의 <예루살렘의 멸망을 슬퍼하는 예레미야>(1630)와 뒤러의 <멜랑콜리아 I>은 예레미야의 내면 심리를 잘 보여줍니다.
렘브란트의 그림에서 예레미야는 불타는 예루살렘을 바라보지 않고 자신의 내면을 응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멜랑콜리커의 전형적인 모습입니다. 그의 옷은 화려하지만 맨발은 노예의 고통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모순된 모습은 예레미야가 겪는 내적 갈등을 잘 보여줍니다.
뒤러의 <멜랑콜리아 I> 역시 멜랑콜리커의 모습을 잘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 그림에서 멜랑콜리아는 지식과 창조의 상징물들에 둘러싸여 있지만, 무력하고 우울한 모습으로 앉아 있습니다. 이는 지식과 창조의 힘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세상의 모순 앞에서 느끼는 무력감을 나타냅니다.
4. 슬픔의 창조적 힘
예레미야의 슬픔과 멜랑콜리아는 단순히 부정적인 감정이 아닙니다. 오히려 이는 세상을 더 깊이 이해하고, 새로운 질서를 창조해내는 원동력이 됩니다. 슬픔은 우리로 하여금 이상과 현실의 괴리를 인식하게 합니다. 또한 타인의 고통에 공감하게 만듭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더 나은 세상을 위한 변화의 동력을 얻게 되는 것입니다.
예레미야의 눈물은 단순한 비탄의 표현이 아닙니다. 그것은 기존의 질서에 맞서는 정치적 언어이며,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내는 창조적 힘입니다. 고통을 구원하는 것은 바로 고통 그 자체인 것입니다.
5. 결론: 슬픔의 보편성과 그 의미
예레미야의 슬픔은 단순히 한 예언자의 개인적 감정이 아닙니다. 그것은 인간의 보편적인 감정을 대변합니다. 우리 모두는 때때로 예레미야와 같은 슬픔과 우울, 멜랑콜리아를 경험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감정들은 반드시 부정적인 것만은 아닙니다. 오히려 이를 통해 우리는 세상을 더 깊이 이해하고, 새로운 창조의 힘을 얻을 수 있습니다. 예레미야의 슬픔을 통해 우리는 인간의 감정이 갖는 깊이와 의미를 재발견할 수 있는 것입니다.
더 나아가 하나님의 슬픔을 이해함으로써, 우리는 신과 인간의 관계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가질 수 있습니다. 하나님도 슬퍼하신다는 사실은 그가 우리의 고통에 동참하시며, 우리와 함께 하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결국 예레미야의 슬픔과 멜랑콜리아는 우리에게 인간의 감정이 갖는 깊이와 의미, 그리고 그 창조적 힘을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자신의 슬픔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고, 그것이 갖는 형이상학적 의미와 창조적 힘을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원문 : 슬픔의 형이상학: 예레미야와 멜랑콜리아, 김선종(정읍중앙교회 목사)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