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창세기 7:20의 15규빗 물과 산들이 잠긴 현상에 대한 연구

창세기 7:20의 "15규빗" 물이 산을 덮었다는 기록은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본문과 고대 단위, 방주 설계, 지질학적 변화, 신학적 의미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15규빗의 실제 의미와 노아 홍수 당시 지형의 변화, 방주의 안정성, 그리고 성경적 맥락을 깊이 있게 설명합니다. 노아의 방주와 홍수 이야기에 대한 학문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해석을 찾는 분들을 위한 전문적인 안내서입니다.


창세기 720의 15규빗 물과 산들이 잠긴 현상에 대한 연구



창세기 7:20의 15규빗 물과 산들이 잠긴 현상에 대한 연구


창세기 7:20에는 이러한 구절이 있습니다.

  • 창세기 7:20, 물이 불어서 십오 규빗이나 오르니 산들이 잠긴지라

이 구절은 노아의 홍수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면서도, 현대 독자들에게 많은 질문들을 남깁니다. 어떻게 15규빗(약 7미터)의 물로 산들이 덮일 수 있었을까요? 본 연구는 이 구절의 의미와 다양한 해석에 대해 살펴봅니다.



규빗의 정확한 길이와 15규빗의 의미


규빗(Cubit)은 히브리인들 사이에서 사용된 길이의 측정 단위로, 팔꿈치에서 중지 끝까지의 거리를 기준으로 했습니다. 고대 세계에서 규빗의 길이는 지역과 시대에 따라 달랐습니다. 이집트 규빗은 약 52cm, 메소포타미아 규빗은 약 49.5cm였으며, 히브리 규빗은 약 44.5cm로 추정됩니다.

15규빗을 현대적 단위로 환산하면 약 6.75미터에 해당합니다. 이는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매우 낮은 높이로, 현대의 높은 산들을 덮기에는 불충분해 보입니다. 그러나 창세기 7:20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맥적, 지질학적, 신학적 관점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문학적 해석: 산 정상 위로의 추가 높이


많은 성경 학자들은 창세기 7:20의 15규빗을 "산들의 정상 위로 추가로 15규빗 올라갔다"는 의미로 해석합니다. 이 해석은 이전 구절인 창세기 7:19의 "물이 세상에 가장 넘치매 천하의 높은 산이 다 덮였더니"라는 표현과 일치합니다.

"물이 불어서 십오 규빗이나 오르니 산들이 잠긴지라"에서 15규빗은 물이 산 위로 얼마나 더 올라갔는지를 나타내는 수치로 볼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이는 전체 수심이 아닌 산 정상 위로 추가된 수위를 의미합니다. 영어 번역본에서는 이를 "The water prevailed fifteen cubits higher, and the mountains were covered"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노아 방주의 설계와 안전성과의 연관성


노아의 방주는 길이 300규빗(약 137m), 너비 50규빗(약 23m), 높이 30규빗(약 13.7m)로 설계되었습니다. 이 비율(길이:너비:높이 = 6:1:0.6)은 현대 선박과 유사하며 안정성을 위해 적합한 설계였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방주의 높이(30규빗)와 홍수의 추가 수위(15규빗)의 관계입니다. 방주에 짐을 실었을 때 약 절반(15규빗) 정도가 물에 잠결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방주가 안전하게 떠 있기 위해 필요한 최소 수심이 15규빗이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15규빗의 추가 수위는 가장 높은 산 위에서도 방주가 안전하게 떠다닐 수 있는 충분한 깊이를 제공했을 것입니다.



노아 홍수 시대의 지형학적 고려


노아의 홍수를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고려사항은 당시의 지형이 현재와 달랐을 가능성입니다. 성경은 "큰 깊음의 샘들이 터지고 하늘의 창들이 열려" 홍수가 시작되었다고 설명합니다. 일부 연구자들은 홍수 이전 지구의 지형이 현재보다 평탄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홍수 기간 동안 격변적인 지질학적 변화로 인해 현재의 더 높은 산들이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격변적 판구조론에 따르면, 노아의 홍수 동안 대륙판의 급격한 수평 발산이 일어났으며, 이로 인해 대규모 지질학적 변화가 발생했을 수 있습니다. 홍수가 끝날 무렵, 대륙이 솟아오르고 해양 분지가 가라앉으면서 현재의 지형이 형성되었다는 이론이 있습니다.



히브리어 "테바"와 방주의 목적


히브리어에서 방주를 의미하는 "테바"(תֵּבָה)는 "상자" 또는 "용기"를 뜻하는 단어입니다. 이 단어는 성경에서 노아의 방주와 모세의 갈대상자를 지칭할 때만 사용됩니다. 테바는 항해를 위한 배가 아니라 구원의 도구로서 설계되었습니다. 방주는 원거리 이동보다는 안전하게 떠 있는 것이 주목적이었습니다. 스크립스 해양 연구소의 실험에 따르면, 노아 방주의 모형은 극단적인 파도 조건에서도 뒤집히지 않고 매우 안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창세기 7:20의 15규빗 물과 산들이 잠긴 현상에 대한 연구



결론


창세기 7:20의 15규빗에 대한 해석은 단순히 물리적 측정을 넘어, 문맥적, 지질학적, 신학적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 수치는 홍수 당시 가장 높은 산 정상 위로 추가된 수위로 해석될 수 있으며, 방주의 설계와 안전한 부양을 위한 필요 조건과도 연관될 수 있습니다.

노아의 홍수는 단순한 지역적 현상이 아닌 전 지구적 사건으로, 당시의 지형은 현재와 달랐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홍수 동안과 이후의 격변적 지질 변화로 인해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높은 산들이 형성되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다차원적 이해는 성경의 기록이 단순한 신화가 아닌, 실제 역사적 사건을 기록한 것임을 시사하며, 노아의 방주와 홍수 이야기의 신학적 깊이를 더욱 풍부하게 합니다.



참고 문헌


  • 신득일, 101가지 구약 Q&A, ed 정희연와/과전희정, 초판, vol 1, 신득일 교수 Q&A 시리즈 (서울시 서초구 방배로 68: 기독교문서선교회, 2015), 40–41.
  • Collins, J. D. (2018). Genesis 1-4: A Linguistic, Literary, and Theological Commentary. P&R Publishing.
  • Henry, M. (1991). Matthew Henry's Commentary on the Whole Bible: Complete and Unabridged in One Volume. Hendrickson.
  • Morris, J. D. (2014). The Global Flood: Unlocking Earth’s Geologic History.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 Snelling, A. A. (2009). Earth's Catastrophic Past: Geology, Creation & the Flood (Vols. 1-2).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 Walton, J. H. (2001). The NIV Application Commentary: Genesis. Zondervan.
  • Woodmorappe, J. (1996). Noah's Ark: A Feasibility Study.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 Young, D. A. & Stearley, R. F. (2008). The Bible, Rocks and Time: Geological Evidence for the Age of the Earth. InterVarsity Press.
  • Zondervan. (2011). New International Version Study Bible (Fully Revised Edition). Zondervan.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