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cker

6/recent/ticker-posts

심리학 개론 15. 언어와 사고, 나는 동물과는 다르다 ⓐ

 


   인간과 동물을 구분하는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는 언어입니다. 인간만큼 완벽하게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언어를 가진 존재는 없습니다. 그래서 오늘부터는 우리가 매일 매순간 사용하면서도 당연하게 여기는 언어에 대해서 살펴 보고자 합니다.


심리학 개론 15. 언어와 사고 ⓐ


1. 인간 언어의 발생


1) 진화심리학적 관점에서의 언어발생


   (1) 자연선택

  1. 자연선택(자연도태, natural selection): 인간이 언어로 의사소통하고자 하는 것은 본능이며 인간 언어의 근원을 설명할 수 있는 유일한 과학적 설명
  2. 적응적 복잡성: 진화에서 유기체의 구성요소가 어떤 기능을 충족하기 위해 설계됨 : 언어적 복잡성-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심성어휘집, 성도, 음성 인식, 분석 알고리즘, 학습 알고리즘 등 복잡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음
  3. 복잡한 언어구조는 인간이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목적을 충족하기 위해서 진화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2) 성도의 진화

인간의 말소리: 폐에서 올라온 공기 → 후두(larynz) → 성대 (supralaryngeal vocal tract)를 통과하면서 산출됨

인간의 후두의 위치는 다른 동물에 비해 낮게 위치해있음: 다양한 말소리를 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여러 종류의 모음을 생성할 수 있게 함

낮은 후두 위치의 단점; 음식물이 기도로 내려가서 질식해 죽을 위험이 있음


   (3) 피진어와 크리올어

피진어(pidgin): 어순이 일정하지 않고 문법이 결여된 원시적 형태의 언어

예) 여러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모인 곳에서는 하나의 언어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그 상황에서 접한 언어의 단어를 빌려 단순 나열하는 식의 의사소통을 시도함

크리올어(Creole): 비교적 어순이 고정적이고 문법이 갖추어져 있는 언어

예) 한국어, 영어, 중국어 등, 수화



▩ 인간은 처음에는 피진어의 형태를 사용하지만 점차 문법을 갖춘 크리올어를 사용하게 됨. 이는 언어 발생이 선천적 기능임을 시사하는 결과


2) 인간 언어의 주요 특성


   (1) 생산성

무한한 수의 새로운 문장을 생성할 수 있는 능력

통사론: 단어를 묶어서 문장을 만드는 규칙체계에 대한 지식

① 문장 = 명사구 + 동사구 (예: 예쁜 아기가 잔다)

② 동사구 = (명사구) + 동사 (예: 밥을 먹는다)

③ 명사구 = (형용사) + 명사 (예: 귀여운 인형)

문장의 결합을 통해 복문을 만들 수 있음

예) ‘-고’와 같은 접미어를 통해 병렬적 결합이 가능 : 엄마가 밥을 차려주고 영희가 밥을 먹었다.


   (2) 구조 의존성

인간 언어는 위계적 구조로 구성되어 있음

예: “The man is in the room.”을 의문문으로 만들기 위해서 be 동사를 문장 앞으로 옮겨야 함

→ 규칙: 처음 나오는 is를 찾아서 맨 앞으로 옮겨라.

“The man who is tall is in the room.“이라는 문장에 위의 규칙을 적용할 경우 문법적 구조에 맞지 않음 → 대안적 규칙: 여러개의 is가 있을 때는 주절의 is를 찾아서 앞으로 움직여라

이러한 규칙 자체가 위계적 구조를 고려한 규칙임


   (3) 언어적 보편성

다양한 문화권 내 다양한 언어가 있지만 그 가운데 공통적인 특성을 발견할 수 있음

그린버그(Greenberg, 1963): 이탈리아어, 터키어, 힌디어, 일본어, 말레이어 등 30종의 언어를 조사하면서 언어적 보편성을 찾도록 함. 전 세계의 언어가 VSO, SVO, SOV(S:주어, V:동사, O: 목적어) 세 종류의 어순으로 구별됨을 발견

촘스키(Chomsky, 1981, 1986) : 인간이 언어를 습득할 수 있는 것은 언어획득장치(LAD: Language acquisition device)가 있기 때문

근거: 아동은 보편 문법을 사용함


   (4) 다른 종의 언어 학습

인간을 제외한 다른 종도 인간 언어를 배울 수 있는가?

- 침팬지에게 음성언어를 가르치기 위한 시도를 하였으나 실패함

언어를 이해 못하는 것인가? 음성장치를 갖지 않아서인가?

- 다른 종이 인간 언어를 배울 수 있는가 검증하기 위해 두 가지 방법을 사용

① 미국 수화를 가르치는 것 : '와쇼' 라는 침팬지는 4년 간 132개의 신호를 산출하고 2개의 신호를 조합함

② 플라스틱 상징을 이용한 인공 언어를 가르치는 것

침팬지의 수화습득과 아동의 언어습득과의 차이점

① 침팬지의 수화습득에서는 어휘폭발이 나타나지 않음

② 침팬지는 네 개 정도의 신호를 조합하였지만 같은 신호가 반복되는 경향이 높았음

③ 침팬지의 수화는 수화를 가르치는 교사의 수화를 모방하는 경우가 많았음

보노보원숭이에게 렉시그램(lexigram)을 가르치는 시도를 함

1981년 마타타라는 보노보에게 렉시그램을 가르침. 마타타의 아들 칸지는 렉시그램을 배우고 약간의 음성영어를 이해하는 능력을 습득함

언어를 습득했다고 볼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라는 결론

칸지가 배운 렉시그램은 상을 받기 위해 훈련자를 모방하는 행동

언어배우는 속도가 느리고 단조로웠기 때문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