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세오경] 고대 근동의 배경으로 보는 신명기 개론

모압 평지에서 가나안을 마주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다시 한 번 더 하나님의 말씀을 설명하는 신명기 말씀 역시 고대 근동의 문서들과 유사해 보이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고대 근동의 배경을 참조할 때, 신명기 이해가 더 풍성해 질 것입니다. 고대 근동의 배경으로 보는 신명기 개론 조약 형식의 신명기 신명기는 ‘언약과 고대 근동의 조약’과 같은 나라들 간의 조약 형식을 취합니다. 이 고대의 언약에서 가장 큰 부분은 대개 속국의 의무를 자세히 규정한 부분입니다. 여기에는 충성 등 일반적으로 기대되는 사항과 공물을 바치고 주둔군의 숙소를 제공하는 것과 같은 상세한 내용이 포함되었을 것입니다. 또한 도망자를 숨겨 주는 것 및 다른 나라와 동맹을 맺는 것에 대한 금지 조항이 있었을 것입니다. 종주국을 수비하고 사절을 존중해야 하는 의무도 있었습니다. 율법 형태의 신명기 신명기에서 규정은 기대 사항과 금지 사항을 상술하는 율법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어떤 해석자들은 6-26장(혹은 12-26장)에 나오는 율법이 십계명에 따라 배열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고대의 법조문 모음에는 서언과 결어가 있어서 그것들이 법조문 모음에 문학적 틀을 제공해 주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율법에 문학적 틀을 제공해 주는 것은 언약입니다. 함무라비 법전의 문학적 틀은, 법조문 모음이 법령의 틀을 잡기 위한 것이 아니라, 함무라비의 통치가 어떠한 것이었는지를 보여 주기 위한 것이었음을 이해하도록 도와줍니다. 마찬가지로 신명기의 문학적 틀은 왜 이 율법이 수집되었는지에 대해 깨닫도록 해줍니다. 신명기는 이 율법을 법령이 아니라 언약으로서 구성하고 있는 것입니다. 조약 준수와 신명기 고대 근동 사람들은 어떤 조약과 그 조항에 동의할 때 그 조약의 조건을 따라야만 했습니다. 그것은 땅에 대한 율법과 연관된 의무와 비슷하지만 그것과는 다르게 작용하며 법적 제도 안에 있지 않았습니다. 예를 들어, 오늘날 세계 각국은 자신의 입법부가 제정한, 자기 국민에게 결속력을 가진, 자신들의 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