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cker

6/recent/ticker-posts

심리학 이야기 : 깨어진 유리창 이론(Broken Windows Theory)의 정의와 사례들

   심리학은 개개인의 심리에 대한 설명인 동시에 사회적인 작용에 대한 설명입니다. 왜냐하면, 개인과 사회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사람이 혼자 있다면, 그 사람의 심리를 연구할 필요가 없습니다. 두 사람 이상이 존재할 때 비로소 각 사람의 심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지요. 이처럼 개인과 사회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재미 있는 심리학 이론이 있습니다.


심리학 이야기 : 깨어진 유리창 이론(Broken Windows Theory)


   '깨어진 유리창 이론'(Broken Windows Theory)이라고 불리는 심리학 이론이 있습니다. 이 이론은 개인의 심리가 사회적으로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잘 설명하고 있는 이론입니다.


깨어진 유리창 이론이란?

   1982년 미국의 범죄심리학자인 '제임스 윈슨'과 '조지 켈링'은 공동으로 '깨진 유리창'이라는 글을 발표하면서 처음 밝힌 이론입니다.


'깨진 유리창'이라는 글의 내용

   이 글에서 두 사람은, 1969년에 '필립 짐바르도'라는 스탠포드 대학교 교수가 실시한 실험을 소개하였습니다.


  짐바르도의 실험 내용

   필립 짐바르도 교수가 실시한 현장 실험은 다음과 같습니다.

  • 본닛을 열어 둔 두 대의 차를 각각 떨어진 골목 구석에 세워 둔다.
  • 두 대 중 한 대는 앞유리창이 깨어진 상태로 둔다.
  • 며칠 지난 후 두 차의 상태를 확인한다.
  • 본닛만 열어 둔 차량의 경우에는 처음과 같은 상태로 골목 구석에 서 있었다.
  • 본닛을 열어 두고 앞유리창이 깨어진 차의 경우에는 폐차 수준으로 망가져 있었다.


짐바르도의 실험에 대한 결론

  • 앞유리창이 깨진 채로 세워져 있었던 차는, 얼마 지나지 않아 주변을 지나던 사람들이 너도나도 부품을 떼어가고 남은 유리창을 깨뜨렸다.
  • 그 이유는, 앞유리창이 깨어진 채 방치된 차량은 관리하는 주인이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 본닛만 열려 있었던 차량은 주인이 있는 차량이라 생각하고, 일단은 상황을 지켜 보고 있었기 때문에 부서지지 않았다.


깨어진 유리창 이론의 정의

   많은 유리창이 있는 건물에서, 깨진 하나의 유리창을 그대로 두면 그 깨어진 유리창을 중심으로 많은 문제들이 발생하기 시작한다는 뜻입니다. 즉, 작은 범죄나 사소한 문제가 생겨난 것을 그대로 방치해 두면 점차 중범죄로 발전해 나가거나 큰 문제를 불러 올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므로 문제가 처음 시작되자마자 해결하면 손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호미로 막을 수 있는 일을 방치하여 가래로 막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하라'는 속담과 일맥상통한 이야기입니다. 또 중범죄를 줄이기 위해서는 경범죄부터 하나씩 근절해 나가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뜻도 됩니다.


심리학 이야기 : 깨어진 유리창 이론(Broken Windows Theory)


깨어진 유리창 이론의 예

   무질서를 방치해 두면 더 큰 문제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무질서를 통제한 예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는, 미국의 뉴욕시에 적용했던 경우입니다.


뉴욕 - 지하철의 그래피티 지우기

  '배트맨'이 등장하는 영화에서 범죄의 현장은 '고담 시티'인데, 고담 시티가 사실은 뉴욕을 의미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과거에는 뉴욕에 범죄가 매우 많이 발생했습니다. 특히 지하철은 범죄의 온상이라 할 정도로 위험한 상황이었습니다.

   그래서 뉴욕 시는 지하철 범죄율을 낮추기 위해 '깨어진 유리창 이론'을 적용하였습니다. 지하철 내부에 낙서가 되어 있는 각종 그래피티를 지우기 시작한 것입니다. 각종 글자들과 그림들을 깨끗하게 지우고 지하철 내부도 청결하게 유지하기 시작하자, 놀랍게도 지하철 범죄율도 서서히 낮아지기 시작하였습니다.

   지하철 내부에 낙서된 각종 그래피티와 쓰레기들이 사라지면서, 지하철을 관리하는 주체가 명확하게 드러나고 이용하는 승객들도 스스로 조심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깨어진 한 장의 유리창과 같은 그래피티와 쓰레기들을 제거함으로써, 다른 유리창들(일반 승객들)이 함부로 행동하지 못하도록 눈에 보이지 않는 통제가 작용한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습니다.


뉴욕 - 경범죄 단속을 강화하다

   '깨어진 유리창 이론'을 뉴욕 경찰이 적용한 사례도 있습니다. 뉴욕 경찰이 길거리에 낙서하거나 교통 신호를 어기는 경우, 그리고 함부로 쓰레기를 버리는 경우에는 적발되는 대로 벌금을 부과하는 등의 경범죄 단속을 강화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러자 경범죄율이 낮아지면서 덩달아 중범죄율(살인, 강간 등)까지 낮아지는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러한 사례 역시 깨어진 한 장의 유리창을 고침으로써 전체 유리창에 영향을 끼치지 못하도록 한 경우라 할 수 있습니다.


심리학 이야기 : 깨어진 유리창 이론(Broken Windows Theory)의 정의와 사례들


서울 - 서울역 부근에 꽃거리를 조성하다

   우리나라 서울에서도 '깨어진 유리창 이론'을 적용한 사례가 있습니다. 지난 2012년에 서울역 부근에는 많은 노숙자들로 인하여 거리가 지저분한 상황이었습니다. 그래서 쓰레기들을 깨끗하게 청소하고 국화꽃 화분을 가져다 놓아서 '꽃거리'를 조성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러자 놀랍게도 노숙자들은 그대로이지만, 거리는 훨씬 깨끗해진 상태로 유지되기 시작하였습니다. 


나가면서

   짧은 지면에 심리학 이론을 모두 정리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입니다. 하지만 심리학 이론, 특히 오늘 살펴본 깨어진 유리창 이론은 우리 일상 생활에 직접적인 적용과 효과가 나타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이론 중에 하나라고 생각 됩니다.

   이어서, '깨어진 유리창 이론'의 근본적인 원리와 실생활 적용에 대해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계속 읽으면 유익한 글 : 깨어진 유리창 이론(broken windows theory)의 활용과 문제점들


댓글 쓰기

0 댓글